美 일부기업도 규정준수·오류우려 등으로 사용 제한
(서울=연합뉴스) 임상수 기자 = 최근 전 세계적으로 오픈AI사의 인공지능(AI) 챗봇 '챗GPT' 열풍이 부는 가운데 중국 주요 기업들이 당국의 압력으로 챗GPT 서비스를 차단하고 있다고 일본 경제지 닛케이 아시아가 2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중국 관계 당국은 AI 기반 챗봇이 검열받지 않는 답변을 내놓을 수 있는 점 등을 우려해 중국 내 주요 IT기업들에 챗GPT 서비스 제공을 금지했다.
소식통들은 중국 최대 인터넷기업 텐센트(騰迅·텅쉰)와 전자상거래 기업 알리바바그룹의 핀테크 자회사 앤트그룹은 당국으로부터 자사 플랫폼에 챗GPT에 접속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지 말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전했다.
또 이들을 포함해 중국 테크(기술)기업들은 챗GPT와 유사한 서비스를 출시할 경우 사전에 당국에 보고해야 한다고 소식통은 덧붙였다.
챗GPT는 현재 중국에서 공식적으로는 이용할 수 없지만, 일부 인터넷 이용자들은 가상사설망(VPN)을 통한 우회접속과 텐센트의 소셜미디어 위챗(웨이신)에서 개발자들이 제공하는 연결 프로그램 등을 활용해 사용하고 있다.
텐센트는 그러나 최근 당국의 압력으로 이들 개발자가 제공하는 챗GPT 연결 프로그램 서비스를 차단했다.
중국 관영 차이나 데일리는 20일 소셜미디어 웨이보에 "챗GPT가 미국 정부가 지정학적 이익을 위해 거짓 정보를 퍼뜨리고, 사실을 조작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챗GPT 열풍 이후 중국 빅테크들도 앞다퉈 이와 유사한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다는 사실을 공개했으나 이는 챗GPT와 유사한 것일 뿐 이 챗봇과 연계된 것은 아니라는 점을 강조했다고 닛케이 아시아는 전했다.
이런 가운데 국 최대은행 JP모건체이스는 당분간 직원들의 챗GPT 사용을 제한하고 있다고 미 CNN방송이 전했다.
JP모건의 이같은 결정은 제3자(타기관) 소프트웨어 사용을 제한하는 규정을 준수해야 하기 때문이라고 소식통은 설명했다.
JP모건은 이에 대한 확인 요청을 거절했다.
지난해 11월 챗GPT가 공개된 이후 논문과 시나리오를 작성할 뿐 아니라 여행 일정을 짜주고 심지어 코딩까지 하면서 출시 2개월만인 지난 1월 월간 이용자가 1억 명을 돌파하는 등 전 세계적으로 '생성형' AI 열풍을 몰고 왔다.
이에 따라 구글이 생성형 AI 기반의 서비스 바드를 내놓고 오픈AI 투자자인 마이크로소프트(MS)도 검색엔진 빙 AI 챗봇을 출시했으나 이들 기술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고 CNN은 전했다.
실제로 구글과 MS 모두 시현 현장에서 사실과 다른 정보를 제공하는 등 오류가 발견되기도 했다.
이에 따라 일부 기업들은 챗GPT를 업무에 적용하는 것을 장려하고 있지만 이같은 오류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으며, 특히 민감한 고객 정보를 다루고 있어 당국의 엄격한 감독을 받는 금융 분야에서는 신중한 접근이 요구되고 있다고 CNN은 덧붙였다.
nadoo1@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