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임기창 기자 =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6일 일제 강제징용 해법과 관련해 전경련과 일본 게이단렌(經團連·일본경제단체연합회)이 '미래청년기금'(가칭)을 공동 조성하는 것을 포함해 "모든 방안을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https://img.wowtv.co.kr/YH/2023-03-06/AKR20230306152000003_01_i.jpg)
전경련은 이날 오후 배포한 입장문에서 "게이단렌과 그간 한일 관계를 미래지향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논의해 왔으며 강제징용 문제에 대한 양국 정부 간 합의를 계기로 미래지향적 한일관계 구축 방안에 대해 보다 구체적인 논의를 시작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전경련은 "기금에 관한 논의도 포함해 모든 방안을 제로(0)베이스에서 검토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정부는 이날 행정안전부 산하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이 대일 청구권자금 수혜 기업들로부터 자발적 기부를 받아 재원을 마련해 대법원으로부터 배상 확정판결을 받은 일제 강제징용 피해자들에게 대신 판결금을 지급하는 제3자 변제 방식의 강제징용 해법을 발표했다.
이와 별도로 한일 정부는 양국 재계를 대표하는 전경련과 게이단렌을 통해 미래청년기금 공동 조성해 유학생을 위한 장학금 등 양국 청년의 교류 증진에 사용하는 방안을 마련해 검토 중이다.
일본 정부는 강제징용 피고 기업들이 어떤 형태로든 한국 대법원 판결에 따른 법적 배상에 참여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는 것으로 알려져 피해자지원재단을 통한 한국 정부의 우선 변제도 '반쪽'이라는 지적을 받을 수 있다.
미래청년기금을 활용하면 일본 기업들이 게이단렌 회비나 기여금을 내는 방식으로 우회 참여할 길이 열리는 셈이어서 피고 기업들의 직접적인 판결금 변제 참여의 대안으로 제시된 방안으로 보인다.
puls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