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VB 사태 없다'…국내은행, 여신비율 높고 유가증권 비중 작아

입력 2023-03-14 06:29  

'SVB 사태 없다'…국내은행, 여신비율 높고 유가증권 비중 작아
수신 대비 여신 비율 90% 넘어…총자산 중 유가증권 비중 20% 미만
지난해 3분기 기준 유가증권 손익 크지 않아…일부 은행은 수익 기록


(서울=연합뉴스) 신호경 박대한 민선희 기자 = 미국의 벤처캐피탈 및 기술 스타트업 전문은행인 실리콘밸리은행(SVB)의 파산 원인으로 수신에 비해 작은 여신 규모, 막대한 유가증권 보유 등이 지적되면서 국내 은행의 자산 구조 등에도 관심이 집중된다.
국내은행들은 SVB와 같은 미국 특화은행과 달리 수신 대비 여신 비율(여수신 비율)이 높은 데다, 전체 자산에서 유가증권이 차지하는 비중도 20% 미만인 만큼 지난해 이후 지속되는 금리 인상기에도 큰 타격이 없는 것으로 분석됐다.
14일 외신 등에 따르면 SVB 파산은 고금리 충격에 따른 재무구조 악화가 고객의 대규모 예금 인출로 이어지면서 벌어졌다.
SVB는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기간 늘어난 예금을 미 국채와 주택저당증권 등에 투자했는데, 그동안의 금리 인상으로 채권 가격이 급락하면서 큰 손실을 입었다.
지난해 말 기준 SVB의 총수신은 1천747억달러인데 여신은 743억달러로 여수신 비율이 42.5%에 불과했다.
통상 은행은 가계나 기업들로부터 유치한 예금을 대출 등으로 굴려 수익을 얻어야 하는데, SVB는 이 비율이 매우 낮은 셈이다.
반면 지난해 말 기준 보유 채권 규모는 1천174억달러로 총자산의 55% 수준에 달했다.
실리콘밸리 내 기술기업들에 의존하는 특화은행인 만큼 일반 은행에 비해 수신 대비 여신 비율은 낮고 자산 중 채권 비중이 매우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이는 국내 은행과는 딴판이다.
금융감독원 금융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기준 국내 주요 은행의 총여신(은행 계정)을 총수신으로 나눈 여수신 비율은 모두 90% 이상이었다.
KB국민은행의 3분기 기준 수신 규모는 367조959억원, 여신은 365조1천70억원으로 여수신 비율은 99.5%였다.
신한은행의 3분기 기준 수신 규모는 총 335조8천759억원, 여신은 322조808억원으로, 여수신 비율은 95.9%였다.
우리은행은 96.3%(수신 312조753억원, 여신 300조6천712억원), NH농협은행 92%(수신 314조9천110억원, 여신 289조8천151억원), 하나은행 91.6%(수신 346조2천944억원, 여신 317조2천952억원) 등이었다.
수신이 늘어난 만큼 대출 등을 통해 돈을 굴리고 있어 예대마진(대출금리-예금금리 격차)을 통해 안정적인 수익을 올리는 구조인 셈이다.

따라서 주식과 채권 등 리스크가 상대적으로 큰 유가증권 투자 비중도 높지 않다.
3분기 기준 신한은행의 총자산(은행계정)은 465조3천937억원, 보유 유가증권은 86조8천317억원으로, 유가증권 비중은 18.7%에 그쳤다.
NH농협은 총자산 400조1천72억원 중 유가증권은 71조2천176억원으로 17.8%를 차지했다.
KB국민은 16.2%(총자산 517조5천632억원, 유가증권 84조580억원), 하나 16%(총자산 490조2천3억원, 유가증권 78조5천580억원), 우리 15.9%(총자산 440조9천864억원, 유가증권 69조9천812억원) 등으로 집계됐다.
총자산의 절반 이상을 유가증권에 투자한 SVB와 비교하면 매우 낮은 것으로, 금리 인상으로 인해 보유 중인 유가증권의 가격이 하락하더라도 손실이 은행 전체 자산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은 셈이다.
실제 지난해 3분기까지 각 은행의 유가증권 손익(누적)은 KB국민 -5천686억원, 우리 -2천100억원, 하나 -1천805억원, NH농협 1천691억원, 신한 1천688억원 등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 SVB 사태와 같은 은행의 대규모 유가증권 손실과 이로 인한 뱅크런(대량 인출 사태) 발생 가능성은 작다는 지적이다.
다만 주요 시중은행들은 이번 SVB 사태가 시장 리스크로 전이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만큼 시장 상황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관련 익스포저(위험 노출액)를 점검하는 등 대응책을 가동하고 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이번 사태가 금융권 전반의 시스템 리스크로 확산할 가능성은 크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가파른 금리 인상의 여파가 시차를 두고 발생하고 있는 만큼 단기적으로 리스크 관리에 주안을 두고 보수적으로 대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다른 은행의 한 관계자는 "내부적으로도 관련 파급이 국내 은행들로 전이되지 않는지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다"면서 "특이사항 발생시 문제해결을 위한 즉각적인 조치에 나설 것"이라고 강조했다.
shk999@yna.co.kr, pdhis959@yna.co.kr, ssu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