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wowtv.co.kr/YH/2023-03-14/PYH2022101715620001300_P2.jpg)
(서울=연합뉴스) 홍준석 기자 = 한국노총은 14일 공공부문 비정규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공무직위원회 상설화를 요구하며 투쟁에 나섰다.
한국노총은 이날 서울지방고용노동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공무직위원회 상설화, 공무직위원회법 제정, 공무직 처우개선, 공공부문 비정규직 차별 철폐 등을 요구하는 릴레이 1인 시위를 오는 28일까지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위원회는 공공부문 무기계약직과 기간제 노동자의 인사·노무 관리와 처우에 대한 기준을 마련하기 위해 지난 2020년 4월 설치된 기구인데, 활동 기간이 3년으로 정해져 있어 이달 말이면 종료된다.
한국노총은 위원회 활동을 종결하는 것이 공공부문 비정규직 노동자의 처우개선을 위한 논의를 포기하는 것이라면서 "정부가 실질적 사용자로서 논의를 회피하고 갈등의 책임을 현장으로 떠넘기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공공부문 비정규직 노동자는 공공행정, 시설관리, 환경미화, 보안, 보건 등을 담당해왔다"라며 "국가 운영의 필수 노동자라는 점은 누구도 부정할 수 없다"라고 강조했다.
김동명 한국노총 위원장도 "정부가 말하는 노동시장 이중구조 개혁의 출발은 비정규직 문제 해결"이라면서 "우리 사회에 만연한 불평등 구조를 깨는 시작이 바로 위원회법 제정과 위원회 상설화"라고 말했다.
그는 "공공부문 비정규직 노동자의 불평등 고리를 끊어내고자 총력 투쟁을 전개한다"라며 "정부와 국회는 100만 공공부문 비정규직 노동자의 당연한 요구에 즉각 답변해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honk0216@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