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년보다 최고액 연봉자 보수 줄고 직원 연봉 늘어…격차 좁혀져
![](https://img.wowtv.co.kr/YH/2023-03-28/PCM20190104000301990_P2.jpg)
(서울=연합뉴스) 김기훈 기자 = 지난해 국내 주요 기업에서 가장 많은 연봉을 받은 경영인과 일반 직원 간 평균 연봉 격차가 약 16배 차이가 나는 것으로 조사됐다.
다만 전년보다 최고액 연봉자가 받은 금액은 줄고 직원들 평균 연봉은 오르면서 격차는 좁혀졌다.
28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가 작년 매출 상위 500대 기업 가운데 사업보고서를 통해 5억원 이상 고액 연봉자를 공개한 282개 기업을 분석한 결과, 이들 기업의 최고액 연봉자 평균 연봉은 14억1천237만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19억2천577만원)보다 26.7% 감소한 것이다.
퇴직금 수령자는 최고액 연봉자에서 제외했으며, 스톡옵션을 행사한 경우는 포함했다고 리더스인덱스는 부연했다.
조사 대상 기업의 직원 평균 연봉은 9천92만원으로 전년(8천669만원)보다 4.9% 증가했다.
지난해 최고액 연봉자와 직원 간 평균 연봉 격차는 15.5배로 전년(22.2배)보다는 줄었다.
최고액 연봉자와 직원 간 급여 차가 가장 큰 기업은 엔씨소프트였다.
지난해 이 회사 김택진 대표는 123억8천100만원을 수령했다. 이는 직원 평균 연봉(1억1천400만원)의 108.6배였다.
이어 보수 격차가 큰 곳은 CJ제일제당이었다.
이재현 회장의 연봉은 72억9천400만원으로, 직원 평균(7천600만원)의 96배 수준이었다.
3위는 이마트[139480]로 정용진 부회장의 연봉(36억1천500만원)은 직원 평균(4천500만원)의 80.3배에 달했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3/03/27/AKR20230327103300003_01_i.jpg)
4위와 5위는 호텔신라[008770]와 에스디바이오센서였다.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의 연봉은 35억600만원으로 직원 평균(5천100만원)의 68.7배였다.
하태영 에스디바이오센서[137310] 대표는 주식매수선택권 행사이익 등을 포함해 총 79억7천600만원을 챙겼다. 이는 직원 평균 연봉(1억1천840만원)의 67.4배다.
직원들의 평균 급여액이 가장 높은 업종은 지주사로 조사대상 기업 9개사의 평균이 1억8천400만원이나 됐다.
㈜LG와 DL㈜의 직원 평균 연봉이 각각 2억100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우리금융지주[316140](1억8천900만원), KB금융지주(1억7천600만원), LX홀딩스[383800](1억7천200만원), BNK금융지주[138930](1억6800만원), 신한지주[055550](1억6천400만원), 하나금융지주[086790](1억4천800만원), DGB금융지주[139130](1억2천400만원) 순이었다.
업종별로는 증권업(1억4천200만원), 통신업(1억2천300만원), 여신금융업(1억1천600만원), 은행(1억800만원), 석유화학(1억600만원), 상사(1억500만원), 보험(1억400만원) 등 순이었다.
조사 대상 기업의 미등기임원 평균 연봉은 3억2천400만원으로 전년도 평균(3억100만원)보다 7.7% 증가했다.
미등기임원 평균 연봉이 가장 많은 기업은 크래프톤[259960](23억8천만원)이었다.
이어 메리츠증권[008560](13억8천31만원), E1[017940](8억800만원), SK하이닉스[000660](7억5천500만원), LG(7억3천800만원), 신세계[004170](7억3천700만원), SKC[011790](7억2천600만원), 포스코홀딩스[005490](7억400만원), 삼성전자[005930](7억300만원), 엔씨소프트[036570](6억9천400만원) 순이었다.
kihu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