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도 공동제안국 참여한 결의안…美 "우리와 무관한 사건"
![](https://img.wowtv.co.kr/YH/2023-03-28/PAP20230328074301009_P2.jpg)
(뉴욕=연합뉴스) 강건택 특파원 = 지난해 발트해에서 벌어진 노르트스트림 가스관 폭발 사건에 관한 독립적인 국제 조사를 촉구하는 러시아의 결의안이 27일(현지시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에서 부결됐다.
안보리 회의 표결 결과 이 결의안에는 중국, 러시아, 브라질 등 3개국만 찬성했고, 나머지 12개국은 모두 기권했다.
안보리 결의안은 15개 이사국 중 9개국 이상이 찬성하고 5개 상임이사국 중 어느 한 나라도 반대하지 않아야 채택된다.
노르트스트림 가스관은 러시아에서 독일 등 유럽으로 가스를 직수출하는 주요 경로로, 지난해 강력한 폭발로 덴마크와 스웨덴의 배타적경제수역(EEZ) 내 해저에 설치된 노르트스트림-1과 노르트스트림-2 가스관 4개 중 3개가 파손됐다.
러시아는 이 사건이 러시아 소행이 아니라고 주장해 왔으며, 최근 폭발 사건이 미국 정부의 비밀 작전에 의한 것이라는 탐사 전문 기자의 보도가 나오자 미국에 화살을 돌리며 지난달 결의안을 발의했다.
이날도 표결 전 바실리 네벤쟈 주유엔 러시아대사는 "객관적이고 투명한 국제 조사 없이는 무슨 일이 일어난 것인지 진실을 밝힐 수 없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북한, 벨라루스, 베네수엘라, 니카라과, 시리아, 에리트레아도 이 결의안의 공동 제안국에 이름을 올렸다고 타스 통신이 전했다. 그러나 이들 국가는 안보리 이사국이 아니어서 표결에는 참여하지 못했다.
러시아의 문제 제기에 로버트 우드 주유엔 미국 차석대사는 "미국은 전혀 (가스관 폭발 사건에) 관여하지 않았다"며 러시아가 현재 진행 중인 조사 작업의 신뢰를 흔들기 위해 애쓰는 것이라며 반발했다.
오히려 안보리는 오는 28일 또는 29일 러시아의 전술핵미사일 벨라루스 배치 계획에 관한 회의를 열기로 하며 러시아를 더욱 압박하고 나섰다.
이에 맞서 러시아는 세르게이 라브로프 외무장관이 4월 중 유엔 안보리를 직접 방문해 연설할 계획이라고 네벤쟈 대사는 전했다.
firstcircl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