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배터리 파일럿 플랜트·품질관리센터 신설
전고체 내년 시제품 개발…2028년 상용화 목표
![](https://img.wowtv.co.kr/YH/2023-04-24/AKR20230424023951063_01_i.jpg)
(대전·서울=연합뉴스) 정윤덕 김아람 기자 = SK온이 차세대 전고체 배터리 등의 연구개발(R&D) 인프라 강화를 위해 대전 배터리연구원에 대한 투자를 확대한다.
SK온은 오는 2025년까지 4천700억원을 들여 대전 유성구 원촌동에 있는 연구원 시설을 확장하고 차세대 배터리 파일럿 플랜트와 글로벌 품질관리센터(G-VC)를 신설한다고 24일 밝혔다.
연구원 내 기존 부지를 활용해 연면적 7만3천400㎡ 규모로 신·증축을 한다.
일부 투자 계획은 이미 실행에 들어갔다. SK온은 작년 7월부터 연구원 부지 내 제2 충방전동, 제2 연구동, 화성동 등을 증축 중이며 올해 하반기 완공을 앞두고 있다.
내년까지 각형, 리튬인산철(LFP) 등 신규 제품 개발 라인과 충방전기 등 연구 설비를 대폭 증설할 계획이다.
SK온은 이번 투자로 신규 폼팩터를 더 쉽게 개발하고 수주 경쟁력도 제고할 것으로 기대했다.
미래 배터리 개발을 위한 전초 기지인 차세대 배터리 파일럿 플랜트는 내년 상반기 완공을 목표로 지난해 12월 착공했다.
파일럿 플랜트에는 전고체 배터리용 소재 개발을 위해 특수 환경설비를 갖춘 실험 공간과 대규모 양산 기술 확보에 필요한 전고체 파일럿 생산 라인 등을 설치할 계획이다.
이를 발판으로 SK온은 내년 하반기에 전고체 배터리 시제품을 개발하고 2028년 상용화에 돌입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SK온은 그동안 고분자계·산화물계·황화물계 등 전고체 배터리에 필요한 고체 전해질 등을 독자 개발해왔다.
또 미국 전고체 배터리 선도기업 솔리드파워 등 해외 선진 기업에 투자하거나 유수 대학 연구진과 협업해 차세대 배터리 기술력을 키웠다.
내년 하반기 완공 예정인 G-VC는 배터리 품질 검증을 고도화하기 위한 관리 센터다. 대전에 건설할 G-VC는 국내 배터리 품질 관리를 맡게 된다.
대전시와 SK온은 이날 대전시청 중회의실에서 투자유치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대전시는 SK온 연구시설 확충으로 400개 넘는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더불어 이번 투자유치를 일류 경제도시로 발돋움하기 위한 신호탄으로 보고 유성구 안산첨단국방산업단지와 서구 평촌산업단지 등의 기업 유치에 공격적으로 나설 방침이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적극적인 행정 지원으로 SK온의 원활한 투자 진행을 도와 대전시 산업 발전과 지역주민 우선 채용 등 지역경제 활성화에 주력하겠다"고 말했다.
SK온도 인프라 확충을 통해 수주 경쟁력을 확보하고 차세대 배터리 개발에도 더욱 속도를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향후 회사 측은 대전 배터리연구원과 2027년 구축할 부천 SK그린테크노캠퍼스(가칭)를 축으로 핵심 기술력을 키워나갈 계획이다
지동섭 SK온 사장은 "이번 연구개발 인프라 확충으로 SK온의 기술개발 경쟁력은 더욱 강해질 것"이라며 "성장의 열매가 지역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로 연결될 수 있도록 대전시와 긴밀히 협력해나가겠다"고 말했다.
cobra@yna.co.kr, ric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