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유해동영상 94% 이상, 머신 러닝으로 감지"
2만여명이 24시간 콘텐츠 관리와 삭제 업무 담당
(서울=연합뉴스) 이정현 기자 = 구글은 콘텐츠 정책과 관련해 개방성과 접근성을 확보하면서도 유해한 콘텐츠는 제한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고 밝혔다.
장 자크 사헬 구글 아태지역 콘텐츠 정책 총괄은 27일 온라인 간담회에서 "구글 검색은 개방형 웹들을 목록으로 보여주다 보니 합법적인 한 이용자들이 검색하는 내용은 다 볼 수 있어야 한다고 믿지만 그렇다고 높은 품질의 정보를 전달해야 한다는 책임을 간과하는 건 아니다"라며 이같이 말했다.
구글은 구글 제품과 서비스 전반에 걸쳐 일관되게 적용되는 기준을 바탕으로 정보의 품질 관리에 접근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해당 기준은 개방성과 접근성 확보, 이용자의 선택 존중, 문화적 다양성 고려다.
구글은 또 사업을 운영하는 각 국가의 법률을 준수하고 문화·역사적 특수성을 고려해 해당 국가의 구글 플랫폼에서 불법 콘텐츠를 삭제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국의 경우 지난해 상반기 기준 정부가 신고한 유해한 콘텐츠의 82%는 개인정보 보호 관련이었다고 구글은 설명했다.
구글의 콘텐츠 삭제는 법률을 위반하는 경우와, 관련 구글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운영원칙'을 위반하는 경우에 이뤄진다.
장 자크 사헬 총괄은 콘텐츠 관리 목표는 작업의 정확성과 규모를 유지하는 것이라면서, 콘텐츠 관리 절차가 대부분 자동화돼 있지만 관련 인력들도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현재 구글에는 2만명 이상의 인력이 구글 플랫폼에서 콘텐츠 검토 및 삭제 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한국어를 포함해 여러 언어에 능통한 검토자들이 업무에 참여하고 있다"며 "이들은 전 세계에서 법적 사유로 인한 삭제 요청과 신고를 24시간 신중하게 검토하고 처리한다"고 말했다.
구글은 코로나19가 확산할 때, 코로나19 백신이 개발됐을 때 등 중요한 순간과 이슈마다 관련 정책을 별도로 마련해 허위 정보에 대응해왔다고도 설명했다. 생성형 AI(인공지능) 등 신기술을 악용한 거짓 정보 등에 대응하는 데도 마찬가지다.
장 자크 사헬 총괄은 "순환되는 프로세스와 노력으로 지난해 4분기에 삭제된 유튜브 영상의 94% 이상이 머신러닝에 의해 먼저 감지됐고, 이 중 71% 이상이 삭제되기 전 조회수 10회 이하를 기록했다"고 덧붙였다.
장 자크 사헬 총괄은 2019년 구글에 합류했으며 이전에는 국제인터넷주소관리기구(ICANN)의 유럽 지역 매니징 디렉터로 재직하며 유럽 지역의 기업 전략 및 운영을 담당했다.
또 스카이프에서 정부 및 규제 관련 업무를,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유럽·중동 및 아프리카 지역 디지털 정책을 총괄했으며 영국 정부를 포함한 여러 정부와 민간 부문에서 20년 동안 활동했다. 현재는 국제방송통신기구 이사회에서 전략 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다.
lis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