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지원 차주 중심 취약부문 재설정…로봇으로 부실징후 조기 감지도
(서울=연합뉴스) 신호경 박대한 민선희 기자 = 5대 은행이 약 3년 동안 코로나19 금융 지원 차원에서 원금과 이자를 미뤄준 소상공인·중소기업의 대출이 37조원에 이르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처럼 상당 규모의 대출 부실이 숨겨진 상태인데도 최근 연체율 등 건전성 지표가 나빠지자, 은행들은 잠재적 금융위기 가능성에 대비해 비상 체계를 가동하기 시작했다.
더구나 예상대로 9월부터 순차적으로 금융지원이 종료되면 한꺼번에 부실이 터질 가능성까지 있는 만큼, 그에 앞서 한계에 이른 대출자를 먼저 찾아 연착륙을 유도하고 위험을 줄이는 데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 약 37조원 시한폭탄…9월부터 수면위로
은행권은 2020년 초 코로나19 대유행이 시작되자마자 정부 방침에 따라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대출 원금 만기를 연장하고 이자 상환도 유예했다.
지원은 당초 2020년 9월로 시한을 정해 시작됐지만, 이후 코로나19 여파가 길어지자 지원 종료 시점이 무려 5차례나 연장됐다.
7일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5대 시중은행의 '코로나19 금융 지원 실적' 자료에 따르면 지원이 시작된 이후 이달 4일까지 여러 형태로 원금이나 이자 납기가 연장된 대출의 잔액은 36조6천206억원, 건수로는 25만9천594건(만기연장·원금상환 유예·이자유예 중복)에 이른다.
우선 만기가 연장된 대출(재약정 포함) 잔액은 모두 34조8천135억원으로 집계됐다.
대출 원금을 나눠 갚고 있던 기업의 '분할 납부액' 1조5천309억원도 받지 않고 미뤄줬고(원금상환 유예), 같은 기간 2천762억원의 이자도 유예됐다.
결국 현재 5대 은행은 코로나19와 관련해 약 37조원의 잠재 부실 대출을 떠안고 있는 셈이다.
┌─────────────────────────────────────┐
│ 5대 은행 코로나 금융지원 관련 대출 잔액 현황 (단위: 억원, 건) │
│※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은행 자료 취합│
├─────────┬─────────┬───────┬─────────┤
│ 대출 │ 원금 │ 이자 │ 전체 │
│만기 연장 │상환 유예 │ 유예 │ 금융지원 │
├────┬────┼────┬────┼───┬───┼────┬────┤
│잔액│건수│잔액│건수│잔액 │건수 │잔액 합 │건수 합 │
│││││ │ ││(중복) │
├────┼────┼────┼────┼───┼───┼────┼────┤
│ 348,135│ 214,326│ 15,309│ 40,037│ 2,762│ 5,231│ 366,206│ 259,594│
└────┴────┴────┴────┴───┴───┴────┴────┘
◇ "금융·실물 복합위기 온다"…속속 비상 대응조직 가동
금융당국은 지난해 9월 코로나19 피해 자영업자·소상공인의 대출 만기를 금융권과의 자율 협약에 따라 최장 3년간 연장할 수 있도록 하고, 상환 유예의 경우 최장 1년간 다시 미뤄줬다.
결국 재연장 결정이 없는 한 오는 9월부터 상환 유예 대상 대출자들부터 금융지원이 사실상 종료되는 만큼, 은행권도 하반기 연체율 등이 갑자기 튀어 오르는 등 대규모 대출 부실이 현실로 나타날 가능성에 촉각을 세우고 있다.
KB국민은행은 지난해 말부터 내부적으로 '금융시장·실물경제 복합위기 비상 대응 협의체'를 운영하고 있다. 이 협의체는 리스크(위험) 유형별 사전 점검을 통해 취약 섹터(부문)와 취약 예상 섹터를 선정하고, 이 부문에 대한 세부 분석과 모니터링 강화와 함께 맞춤형 입구·사후 관리 제도를 마련한다.
아울러 KB국민은행은 최근 부실 가능 기업을 체계적으로 지원해 채무상환 능력을 키우는 'KB 기업향상 프로그램'의 대상도 확대했다. 이에 따라 최근 3년 연속 영업이익·당기순이익이 적자인 기업도 프로그램의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됐다.
'기업 신용개선 프로그램' 지원 대상도 늘려 KB국민은행 대출이 가장 많은 자영업자나 중소기업이 아니더라도 기한 연장, 대환(대출 갈아타기), 상환 일정 조정, 금리우대, 신규 자금 등 금융지원과 컨설팅을 제공한다.
하나은행도 지난 2월 연체율 등 자산 건전성 관리를 위해 '리스크 관리 태스크포스팀(TFT)' 조직을 신설, 선제적 위험 관리와 취약 차주 연착륙 프로그램 지원 등에 집중하고 있다.
특히 시중은행들은 현시점에서 가장 중요한 '부실 조기 감지'를 위해 AI(인공지능) 등까지 총동원해 위험 징후를 찾고 있다.
A 은행은 최근 대출 취약 부문을 새로 선정했다. 보통 은행의 대출 취약 부문은 경기에 민감한 건설·부동산 임대·요식업 등인데, 이 은행은 최근 금융지원을 받은 대출자들의 연체율 동향 등을 반영해 취약 부문을 다시 설정했다.
B 은행의 경우 얼마 전부터 RPA(로보틱 사무자동화 시스템)를 '이상 징후 차주(대출자) 조기 선별' 작업에 투입했다. 사람이 지표 등을 바탕으로 부실 가능성을 미리 파악하는 데 한계가 있는 만큼, 로봇이 더 많은 데이터를 활용해 객관적으로 위험을 감지하도록 맡긴 셈이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아직 절대적으로 높은 수준은 아니지만, 최근 은행 연체율이 2년 반 만에 가장 높은 수준까지 오른데다 9월 코로나 금융지원 종료까지 앞두고 있어 긴장을 늦출 수 없는 상황"이라며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미래 부실 가능성이 큰 대출자를 미리 찾아내 지원함으로써 부실의 전염과 확산을 최대한 막는 것"이라고 말했다.
shk999@yna.co.kr, pdhis959@yna.co.kr, ssu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