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선박 핵심기술에 올해 1천800억원 지원…금융지원도 강화
![](https://img.wowtv.co.kr/YH/2023-05-10/AKR20230509150200003_01_i.jpg)
(서울=연합뉴스) 이슬기 기자 = 최신 한국형 화물창 기술(KC-2)을 적용한 국내 최초 LNG(액화천연가스) 벙커링 전용 선박인 '블루 웨일호'(Blue Whale)가 10일 운항을 시작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창양 장관과 한국가스공사[036460], HD현대중공업[329180] 등 조선 업계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이날 현대중공업 울산조선소에서 블루 웨일호 명명식을 열었다고 밝혔다.
블루 웨일호가 한국가스공사로 인도되면 해상에서 연료를 주입하는 LNG 벙커링 전용 선박으로의 본격 운항에 들어간다.
앞서 블루 웨일호는 2020년부터 3년간 총 553억원을 투입해 현대중공업 울산조선소에서 건조됐다.
국내 조선산업이 2004년부터 20년간 기술 개발에 공들인 화물창(저장탱크) 기술 국산화의 성과라고 산업부는 설명했다.
블루 웨일호의 운항으로 앞으로 해상에서 탱크로리 트럭 250대 분량의 LNG 7천500㎥를 선박에 직접 공급할 수 있다.
정부는 화물창 기술의 핵심 기자재 국산화와 미래 선박의 핵심 기술 선점 등을 위해 올해 1천800억원가량을 집중적으로 지원할 방침이다.
구체적으로 친환경선박 기술에 1천391억원, 자율운항·미래선박 기술에 221억원, 디지털 전환 기술에 205억원이 투입된다.
![](http://img.yna.co.kr/photo/cms/2023/03/28/64/PCM20230328000064003_P2.jpg)
이날 명명식 이후엔 이창양 장관이 참참석한 가운데 조선업계 간담회가 열렸다.
산업부에 따르면 국내 조선산업은 올해 1분기 세계 선박 시장의 40%를 차지하며 세계 1위 수주실적을 달성했다. 수주액 기준으로는 94억달러에 달하며, 수주잔량도 2011년 이후 최고 수준인 3천868만CGT를 달성해 3년 이상의 일감을 확보했다.
특히 고부가·친환경 선박 시장에서는 한국 조선업계가 올 1분기 70% 이상을 차지한 가운데 대형 LNG운반선도 우리나라가 전세계 발주량(19척)의 90%인 17척을 수주해 압도적인 경쟁력을 보였다.
산업부는 "고부가·친환경 선박 비중이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어서 우리 조선산업에 유리한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며 "올해 조선산업 수출실적은 전년 대비 18% 이상 높아진 215억달러를 달성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http://img.yna.co.kr/photo/yna/YH/2023/05/08/PYH2023050816440001300_P2.jpg)
정부는 업계의 수주 활성화를 위해 금융지원 확대 방안도 발표했다.
서울신용보증 등 3개 기관의 RG(선수금환급보증·Refund Guarantee) 신규 공급, 금융기관의 중·대형사 RG 발급 지원, 무역보험공사의 중형사 특례보증 2천억원 규모로 확대, 조선산업의 고부가 구조 전환을 위한 RG 가이드라인 마련 등이 포함됐다.
이 가운데 RG의 경우 조선사가 정해진 기한(2∼3년)에 선박을 건조하지 못하거나 파산했을 때 선주로부터 받은 선수금을 보증기관이 대신 지급하는 보증을 말한다.
정부는 최근 국내 조선산업이 수주 확대 등으로 인해 추가 금융지원이 필요한 상황을 고려해 이 같은 금융지원에 나섰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산업부와 법무부는 외국인력 도입 제도를 개선해 조선업 필요 인력 1만4천명 중 약 5천500명의 추가인력을 올해 1분기까지 확보했다고 밝혔다.
이창양 장관은 "글로벌 선박 시장이 장기간 불황을 지나 호조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우리나라 조선산업도 수주실적 개선 등 본격적인 재도약을 하고 있다"며 "정부도 조선산업의 재도약을 앞당기기 위해 인력난 해소, 미래 선박 초격차 선도 기술 확보, 금융지원 확대 등을 적극 지원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wis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