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를린=연합뉴스) 이율 특파원 = 독일 정부가 결정적 기반시설로 분류한 최대 항구도시 함부르크의 컨테이너 항만에 중국 국영기업의 지분 참여를 결국 승인했다.
![](https://img.wowtv.co.kr/YH/2023-05-11/AKR20230511003900082_01_i.jpg)
독일 정부는 10일(현지시간) 함부르크 컨테이너 항만 운영사(HHLA)가 운영하는 톨러오르트 항만을 결정적 사회기반시설로 분류됐지만, 중국 국영 해운사 중국원양해운(코스코· COSCO)의 24.9% 지분참여를 허용하기로 한 기존 결정을 유지한다고 밝혔다.
독일 정부 대변인은 "지분매각 계약 수정안이 내각 결정 당시 내건 조건과 일치한다고 확인하는 서한을 매매 당사자들에게 보냈다"고 밝혔다.
독일 내각은 지난해 10월 말 격론 끝에 독일 최대 항구도시 함부르크의 항만 4곳 중 1곳인 톨러오르트 컨테이너 항만에 대한 코스코의 24.9% 지분 참여를 허용하기로 결정했다.
담당 부처는 반대했지만, 함부르크 시장 출신인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가 지분 참여 허용을 밀어붙였기 때문이다. 다만 참여 지분의 규모는 기존 35%에서 24.9%로 하향 조정됐다.
이후 독일 정보기술안전청(BSI)은 톨러오르트 항만을 올해 1월부터 결정적 사회기반시설(인프라)로 분류했다고 밝혀, 관련 투자에 대한 재심의가 이뤄졌다.
HHLA측은 "투자심의에서 제기된 모든 문제는 집중적이고 건설적인 협의를 통해 해명할 수 있었다"면서 "이제 아시아와 유럽 간 화물 선적이 집중되는 해당 항만을 장기고객인 코스코가 선호하는 방식으로 개조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HHLA에 따르면 중국은 현재 독일의 최대 무역상대국이자, 함부르크 항만의 최대 고객으로 함부르크 항에서 유통되는 화물의 30%는 중국에서 왔거나, 중국으로 가는 화물이다. 이들 항만 내 일자리는 135만개에 달한다.
yulsid@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