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에 연간 20만대 전기차 생산설비 투자"…2026년 신차 생산 유력
한국GM·KG모빌리티 전기차 생산시점 주목…국내 배터리 수급체계 구축 필요도
(서울=연합뉴스) 김보경 기자 = 부산에 기반을 둔 르노코리아차의 전기차 생산이 확정되면서 중견 완성차 3사의 국내 첫 전기차 전용 공장 준공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
한국의 '미래차 생산기지화'를 위해선 현대차·기아와 더불어 중견 3사의 빠른 전동화가 필수적이며,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국내 배터리 산업 생태계가 조속히 구축돼야 한다는 조언도 나온다.
![](https://img.wowtv.co.kr/YH/2023-06-22/AKR20230622035000003_01_i.jpg)
22일 자동차 업계에 따르면 르노그룹의 귀도 학 부회장은 지난 20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 르노그룹 본사에서 박형준 부산시장을 만나 르노코리아차 부산공장에 연간 20만대의 전기차 생산설비를 위한 투자를 하겠다고 밝혔다.
르노코리아차의 모기업인 르노그룹은 전기차 생산설비 투자가 전기차 전용 공장 준공인지, 전동화 라인 증설인지는 밝히진 않았다. 하지만 르노그룹이 부산공장의 전기차 생산계획을 공식화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업계는 현재 르노코리아차가 내년 출시 목표로 하이브리드 중형 스포츠유틸리티차(SUV) 개발 프로젝트(오로라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 만큼 전기차 생산설비 구축은 빠르면 2025년부터 시작될 것으로 예상했다. 이에 따라 2026년 부산공장에서 전기차 신차 생산이 유력한 상황이다.
르노코리아차 부산 공장은 이미 혼류생산 방식을 채택하고 있어 전동화 전환에도 빠르게 대응할 수 있을 전망이다.
현재 국내에서 전기차 생산능력을 보유한 완성차 업체는 현대차[005380]와 기아[000270]가 유일해 르노코리아차의 전기차 설비 투자는 반갑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아울러 나머지 중견업체인 한국GM과 KG모빌리티의 전동화 전환 시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3/06/22/AKR20230622035000003_02_i.jpg)
최근 신차인 트랙스 크로스오버가 큰 인기를 끌고 있는 한국GM은 아직 전기차 공장 투자 계획이 확정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장영진 산업통상자원부 1차관은 지난달 방한한 실판 아민 GM 해외사업부문 사장에게 국내 전기차 공장 투자를 요청했지만, 아민 사장은 "현재로선 전기차 생산 투자 판단을 하기 이르다"고 밝힌 바 있다.
KG모빌리티는 가동 중단된 평택 공장 2라인을 개보수해 전기차를 생산할 계획이다.
KG모빌리티가 생산을 예정한 전기차는 기존 코란도 이모션에 더해 토레스 EVX, 전기 픽업트럭 O100, 대형 전기 SUV F100 등이다. KG모빌리티는 전기차 전용 공장 준공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이와 더불어 중견 3사의 빠른 전동화 전환을 지원하기 위해 핵심 부품인 배터리의 안정적 수급 체계를 국내에 구축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국무역협회 통계에 따르면 올해 1∼5월 이차전지 적자 폭은 7억1천600만달러(9천164억원)에 달한다.
흑자기조를 유지하던 이차전지가 적자로 돌아선 것은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등 공급망 재편에 대응하기 위해 국내 배터리업체들이 해외 생산량을 공격적으로 늘렸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에 따라 국내 배터리 생산량이 향후 증가할 국내 전기차 생산 증가분을 따라가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는 우려가 나온다.
또 수출입은행과 무역보험공사가 국내 배터리 기업의 북미 시설 투자를 지원하기 위해 5년간 7조원의 대출과 보증을 제공하는 등 정부 지원도 해외 생산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김필수 대림대학교 미래자동차학부 교수는 "한국은 기술 습득도 빠르고, 인력 시스템이 잘 갖춰져 있어 글로벌 메이커들의 전동화 전환 샘플이 될 수 있다"며 "또 시장은 크지 않지만, 소비자 눈높이가 높아 테스트베드로서 역할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국내 자동차업계의 전동화 전환을 위해선 중견 3사가 역할을 해야 한다"며 "전기차 분야에서 치열하게 경쟁해야 모든 업체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3/06/22/AKR20230622035000003_03_i.jpg)
vivid@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