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그너그룹, 아프리카 곳곳서 정부군·군벌 등에 군사 지원
러 정부, 바그너그룹 활동 외교 지렛대로 활용…반란사태 후 추이 주목
![](https://img.wowtv.co.kr/YH/2023-06-27/AKR20230627000600088_01_i.jpg)
(제네바=연합뉴스) 안희 특파원 = 러시아 정부와 민간 용병기업 바그너그룹이 아프리카 일대에서 맺어온 공생 관계가 바그너그룹의 반란 사태로 향후 존속 여부조차 가늠하기 어려운 상황이 됐다.
26일(현지시간) AFP 통신 등에 따르면 바그너그룹은 아프리카 곳곳에서 정부군이나 유력 군벌에 군사적 지원을 해 왔다.
내전 중인 중앙아프리카공화국에서는 바그너그룹 용병 1천890명이 주둔하며 정부군을 지원 중이고, 리비아에서도 1천200명이 동부 지역 군벌 수장인 칼리파 하르타프 편에서 활동하고 있다.
말리의 친러시아 군사 정권도 바그너그룹 용병 수백명의 도움을 얻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군벌 간 무력 분쟁이 2개월 넘게 진행 중인 수단에서는 바그너그룹이 정부군과 맞선 준군사조직인 RSF에 무기를 지원한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 10년간 아프리카 내 8곳 이상에서 바그너그룹은 군사 활동 이력을 쌓았다. 바그너그룹은 군사 지원을 해 주는 대가로 광물 채굴권 등 각종 이권을 챙긴 것으로 파악된다.
러시아 정부는 바그너그룹에 무기와 보급품 등을 지원하면서 이들의 현지 활동을 대(對) 아프리카 외교의 지렛대로 활용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각종 전쟁범죄 의혹이 유엔 등 국제무대에서 도마 위에 올랐을 때 바그너그룹의 지원에 의존하는 아프리카 국가들이 러시아를 두둔하는 등 러시아가 국제적 고립 상황을 극복하고 우군을 확보하는 데 도움을 얻었다.
지난 24일 발생한 바그너그룹의 무장 반란 사태는 하루 만에 종료됐지만, 중대한 안보 위기를 경험한 러시아 정부로선 어떤 식으로든 바그너그룹의 활동을 통제할 가능성이 커 보인다. 아프리카 내 군사 지원활동 역시 예외일 순 없다는 평가다.
일부 서방 언론매체에선 무장반란에 나섰다 중도 포기한 바그너그룹의 수장 예브게니 프리고진이 추종 병력이 있는 아프리카로 건너가 재기를 노릴 것이라는 전망도 하고 있다. 러시아는 이런 사태가 현실화하도록 좌시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러시아 정부나 바그너그룹과 관계를 맺은 아프리카 각국도 반란 사태의 여파에 촉각을 곤두세워야 하는 형편이다.
러시아 정부에 반기를 든 바그너그룹에 지속적인 지원을 요청할 수도, 바그너그룹과 즉각 절연할 수도 없는 상황에서 추이를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
결국,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프리고진이 이 사태를 어떻게 매듭짓느냐에 따라 바그너그룹의 아프리카 군사지원 활동의 명운도 달라질 전망이다.
아프리카 내 사업을 고리로 상호 의존적이던 러시아 정부와 바그너그룹이 과연 '윈윈' 하던 사업을 쉽게 포기할 수 있겠느냐는 관측도 나오지만, 현재로선 섣불리 전망하기 어렵다는 시각이 대체적이다.
아프리카에 거점을 둔 한 컨설팅 업체의 마이클 슈르킨은 AFP에 "러시아는 바그너그룹의 아프리카 활동이 자국에 이익이 되고 계속할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겠지만 우리는 여전히 무슨 일이 일어날지 모른다"고 말했다.
prayerah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