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일사무소 대표, 민주당 의원들 '티베트 인권침해는 과거사' 발언 비판
![](https://img.wowtv.co.kr/YH/2023-06-28/PYH2023061801950001300_P2.jpg)
(베이징=연합뉴스) 조준형 특파원 = 티베트 망명정부 인사가 티베트 인권 문제를 '과거사'로 규정한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의 발언을 공개적으로 반박했다.
아리야 체왕 기얄포 주일 티베트망명정부 연락사무소 대표는 지난 26일 망명정부 홈페이지에 올린 글에서 최근 중국 정부 초청 및 비용 부담 하에 티베트를 다녀온 민주당 의원들의 발언에 대해 "슬프고 매우 개탄스럽다"고 썼다.
그는 민주당 의원들의 발언 내용을 소개하며 "티베트인들은 여전히 자유롭지 못하며, 그들은 공산당 정권하에서 고통받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중국 당국이 티베트의 일부 불상과 종교 시설 등을 철거했다고 주장하면서 "우리는 민주당 의원들이 억압적인 공산주의 정권하에서 티베트인들과 다른 지역사회들이 겪는 고통에 관심을 기울이고 더 책임 있게 발언할 것을 요구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어제는 티베트, 오늘은 우크라이나, 그리고 내일은 한국일 수 있다"고 덧붙였다.
앞서 15∼18일 중국 베이징과 티베트를 다녀온 의원단 중 한명인 도종환 의원은 19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서 '인권 탄압에 눈감은 중국 행사에 왜 가느냐는 비판을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그건 1951년, 59년에 있었던 일"이라고 답했다.
함께 중국에 다녀온 민병덕 의원은 같은 날 SBS 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서 "1959년 티베트에서 중국에 대해서 무장봉기를 했을 때 자료에 보니까 12만 명이 죽었다 뭐 얘기가 있던데. 이걸 가지고 얘기를 하시는 것 같다"며 "70년 전에 있었던 그 내용을 우리가 부각하면서 이것을 계속해서 외교가에서 얘기하는 것이 과연 국익에 도움이 되는가"라고 말했다.
중국은 1950년대 초반 무력으로 티베트를 점령했고, 이것이 농노 사회였던 티베트를 해방한 것이라고 주장해왔다.
티베트 망명정부는 1959년 티베트 독립을 요구하는 대규모 봉기가 실패로 돌아간 뒤 티베트의 정신적 지도자 달라이 라마가 티베트를 떠나 인도 북서부 히말라야 고원지대인 다람살라에 세운 것이다.
jhch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