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제열 서울대 교수팀,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공개
"사람 후성유전체에 쥐보다 개가 더 가까워"
![](https://img.wowtv.co.kr/YH/2023-07-06/AKR20230705153300017_02_i.jpg)
(서울=연합뉴스) 조승한 기자 = 세계 최초로 개의 후성유전체 지도가 만들어졌다.
후성유전체는 유전자 발현에 영향을 주는 DNA로, 개의 후성유전체는 쥐의 후성유전체보다 사람에 가깝고 종 사이 보존 특성이 나타나는 등 역동적 특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서울대 조제열 교수 연구팀이 개 후성유전체 표준지도를 만들어 6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발표했다고 밝혔다.
개는 수만 년 동안 다양한 품종으로 진화하며 생물학적으로 복잡한 특성을 지녀 유전성 질환, 암과 같은 질병 이해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받고 있다.
또 개는 인간의 친근한 동반자 중 하나로 인간과 같은 환경을 공유하고 있지만, 환경에 어떤 영향을 받는지는 잘 알려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이에 주목해 개의 후성유전체 지도를 만들었다. 후성유전체는 환경 요인을 잘 반영하는 데다, 개는 인간에 비해 생체 시계가 빠르고 수명이 짧아 환경 요소에 인간보다 빠르게 반응하기 때문이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3/07/05/AKR20230705153300017_03_i.jpg)
연구팀은 대뇌, 간, 위장 등 개의 주요 11개 조직에 대한 후성유전체 데이터를 만들어 후성유전체 기능 표준지도를 만들었다.
개의 후성유전체는 인간과 같은 환경을 공유하면서도 먼저 환경에 반응이 나타나는 개의 특성을 고려할 때 인간에게 미리 위험을 알리는 '보초자'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또 분석 결과 개의 후성유전체는 쥐의 후성유전체보다 사람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나기도 했다고 연구팀은 덧붙였다.
조 교수는 "작성된 후성유전체 지도는 다양한 개의 품종 유전체 연구, 암과 질병 연구, 그리고 종간 비교를 통한 비교의학 연구 등에 광범위하게 활용될 수 있다"며 "건강과 질병 유전체의 깊은 해석 및 이해를 통한 동물과 인간의 생명 과학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shj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