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 8개국에 생산 인프라 조성…벼 품종·농업기술 전수
2027년 다수확 벼 종자 1만t 생산 목표…3천만명에 공급 가능
![](https://img.wowtv.co.kr/YH/2023-07-10/PYH2023071008130001300_P2.jpg)
(서울=연합뉴스) 신선미 기자 = 아프리카의 쌀 증산을 위해 한국의 벼 종자와 농업기술을 전파하는 'K-라이스벨트' 사업이 시작됐다.
농림축산식품부는 10일 서초구 JW메리어트호텔에서 K-라이스벨트 농업장관회의를 열고 사업의 공식 출범을 선언했다.
장관회의에는 가나, 감비아, 기니, 기니비사우, 세네갈, 우간다, 카메룬, 케냐 등 8개국의 장관급 대표와 케빈 우라마 아프리카개발은행 부총재 등이 참석했다.
정황근 농식품부 장관은 "직접 아프리카를 다녀오면서 구상한 K-라이스벨트 사업이 실무단 현장 방문, 8개국과 협의 등을 거쳐 출범하게 됐다"며 "국내외 참석자들이 많은 기대를 표현해주신 데 부응해 아프리카의 쌀 자급률 개선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K-라이스벨트는 품종 보급뿐 아니라 농업기술 지원까지 포함하는 프로젝트로, 농식품부는 이 프로젝트를 통해 아프리카 국가의 식량안보 강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농식품부는 이 사업을 통해 아프리카 8개국에 벼 종자생산 단지를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종자생산 단지 규모는 국가별로 50∼100㏊(1㏊=1만㎡) 수준이다.
농식품부는 경지 정리, 경작로 등 생산 인프라 조성을 지원하고, 사업 효율성을 고려해 이미 인프라가 구축된 부지도 사업지로 고려할 예정이다.
농식품부는 통일벼 계열 다수확 벼 품종 보급을 고려하고 있다.
또 우수 품종을 재배할 수 있도록 농기계, 농약, 비료 등을 지원하고 수확 후 관리, 저장시설 구축 기술 등도 지원한다.
농식품부는 K-라이스벨트를 통해 올해 한국이 개발한 벼 종자 2천여t을 현지에서 생산하고, 2027년에는 종자 1만t을 생산해 3천만명에게 쌀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정 장관은 이와 관련 "우리가 생각한 것의 70%만 이뤄도 기아 문제를 상당 부분 해소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K-라이스벨트 사업에는 총 8천만달러(1천억원)가 투입된다.
![](http://img.yna.co.kr/photo/yna/YH/2023/07/10/PYH2023071004600001301_P2.jpg)
아프리카 8개국 대표들은 한국의 경험과 기술을 전수해 아프리카의 쌀 증산을 지원한다는 점에서 K-라이스벨트 사업이 다른 사업과 차별화된다고 평가했다.
뎀바 샤발리 감비아 농업부 장관은 "앞서 대한민국 정부가 보급한 품종인 '이스리-7'의 경우 감비아에서 굉장히 인기가 있다. 수율이 높아 농민들이 아주 좋아한다"며 "한국 쌀을 도입하는 것에 대해 기대가 크다"고 말했다.
이스리-7은 통일벼를 개량해 만든 아프리카 현지 적응 품종으로, 기존 현지 품종과 비교해 생산성이 2∼3배 높은 것으로 입증됐다.
그는 이어 "한국은 앞서 쌀 자급률이 높지 않았지만, 지금은 공여국이 됐다"며 "한국의 경험을 적극적으로 배우고 농업기술 이전도 활발히 전개돼 식량안보 불안정성이 사라지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마무두 나냘렌 바리 기니 농업축산부 장관도 "기니에서는 앞서 이스리 품종을 학교 급식에 사용하기도 했다"며 "K-라이스벨트를 통해 (쌀) 생산성을 더 향상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수출까지 바라볼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고 기대를 나타냈다.
이날 농업장관회의에서 한국과 아프리카 8개국은 장기적인 국제 협력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업무협약(MOU)을 맺었다.
![](http://img.yna.co.kr/etc/graphic/YH/2023/07/10/GYH2023071000040004400_P2.jpg)
su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