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중앙회, 500개 중소기업 조사…중소기업 절반 "2025년 이후 내수경제 회복"
![](https://img.wowtv.co.kr/YH/2023-07-11/AKR20230711048200003_01_i.jpg)
(서울=연합뉴스) 박상돈 기자 = 올해 하반기 중소기업 경기가 상반기보다는 개선될 것으로 전망됐다.
원자재 가격 상승과 내부 부진 등은 경영 애로 요인으로 꼽혔다.
11일 중소기업중앙회에 따르면 지난 3∼7일 중소기업 500개사를 대상으로 '중소기업 경영애로 및 2023년 하반기 경기전망조사'를 실시한 결과, 하반기 경기전망지수(SBHI)는 88.7로 상반기보다 6.4포인트 상승했다.
이 수치는 100 이상이면 경기전망을 긍정적으로 보는 업체가 그렇지 않은 업체보다 많다는 뜻이고, 100 미만이면 그 반대를 의미한다.
분야별로 보면 매출 SBHI는 90.7로 상반기보다 5.5포인트 올랐고, 영업이익(82.6→88.5), 자금 사정(81.8→86.0)도 호전될 것으로 전망됐다.
또 재고수준(102.0→100.6), 설비수준(97.4→96.8)도 호전되지만, 인력수준(85.1→87.7)은 악화할 것으로 전망됐다. 재고수준, 설비수준, 인력수준은 역계열 개념으로 수치가 낮아질수록 개선되는 것이다.
상반기 경영 애로 요인(복수 응답)으로는 원자재 가격 상승이 51.0%로 가장 많이 꼽혔고, 이어 내수부진(46.2%), 금리상승(30.8%)) 등 순이었다. 하반기 경영 애로 요인도 원자재 가격 상승(46.2%), 내수부진(43.4%), 금리상승(28.6%) 등이 꼽혔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3/07/11/AKR20230711048200003_02_i.jpg)
내수경제 예상 회복 시점에 대해서는 응답기업의 50.8%가 2025년 이후를 꼽았고, 내년은 44.2%, 올해는 5.0%에 그쳤다.
올해 하반기 최우선 경영 전략으로는 비용절감·구조조정 등 경영 내실화(44.2%)가 가장 많이 뽑혔고, 환율변동 등 경영리스크 관리(21.6%), 시장 점유율 확대 등 외형성장(18.2%) 등 순으로 뒤를 이었다.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을 위해 가장 필요한 정책(복수 응답)으로는 세금 및 각종 부담금 인하(57.8%)와 금융지원(55.6%)이 선택됐다.
추문갑 중기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정부는 원부자재 가격 인상과 준조세 등 중소기업의 비용 부담을 줄이고 투자를 늘릴 수 있도록 지속적인 규제개혁을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kak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