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디지털트윈 등 장기 과제보다 당장 쓸 수 있는 기술 활용 필요"
'실증 사업 뒤 전국화' 사업 방식도 재검토…국무회의 보고
![](https://img.wowtv.co.kr/YH/2023-07-18/PYH2023071804360001300_P2.jpg)
(서울=연합뉴스) 조성미 기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충북 오송 지하차도 침수 사고를 계기로 수해 예방에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는 각종 정책과 시스템을 현장에 더 빨리 적용하기로 했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18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정보통신기술(ICT)에 기반한 수해 예방 대책 내실화 방안을 보고했다.
과기정통부는 섬진강 등 하천 유역 정보를 디지털 트윈으로 구현해 수해 예측·관제에 활용하고 도시 침수 스마트 대응 시스템을 마련하는 정책을 추진해왔다.
하지만 디지털 트윈 등 시스템은 방대한 정보를 복잡한 시뮬레이션 내에 정교하게 구현해야 하는 특성상 장기간이 소요되면서 매번 반복되는 수해에 즉각적으로 대처하지 못하는 한계가 지적됐다.
이에 따라 과기정통부는 복잡한 기술과 시일을 요구하지 않는 수위 측량 센서, 사물인터넷(IoT) 기술 등 ICT 기술을 대형 인명사고 예방에 즉각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이 필요하다는 판단을 내렸다.
또 특정 지역에서 ICT 기술을 활용한 침수 관리 사업을 실증한 뒤 전국화하려던 계획을 앞당겨 추진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과기정통부는 올해 4월 환경부, 광주광역시, 경상북도, 경상남도와 업무협약을 맺어 지난해 태풍 힌남노로 침수 피해가 발생한 경북 포항시 등 취약지역에 침수 위험 정보 등을 제공하는 사업을 실증하기로 한 바 있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지금까지는 디지털 기술로 재해 예방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실증 수준이었다면, 전국적으로 디지털에 기반한 재난 재해 예방을 빠르게 확산하자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예측 불허의 상황이 벌어지는 만큼 디지털을 통한 상시 모니터링 데이터가 중요하며, 한두 가지 방식으로 대처하기보다는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시도하는 병렬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는 인식도 이뤄졌다"고 말했다.
과기정통부는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수해 등 재난 재해 예방 실질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NIA)에 TF를 꾸리기로 했다.
![](http://img.yna.co.kr/photo/yna/YH/2023/07/18/PYH2023071805340001300_P2.jpg)
csm@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