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국방부 보고서 "우크라 정보당국이 회수…전쟁 초기라 감시 어려워"

(서울=연합뉴스) 최인영 기자 = 서방이 우크라이나에 지원한 무기와 군 장비들이 한때 범죄집단과 무기 밀매업자들 손에 들어갔던 것으로 드러났다.
CNN은 미국 정보공개법(Freedom of Information Act)에 따라 입수한 국방부 보고서 '우크라이나에 제공한 장비에 대한 국방부의 책임'을 통해 이 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2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우크라이나 전쟁 초기인 지난해 2월부터 9월까지 조사한 내용을 토대로 작성된 이 보고서는 지난해 10월 6일 발간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6월 말 한 범죄 조직이 가짜 문서를 이용해 우크라이나 의용군에 합류, 탄약 1천발과 기관총 등 각종 무기를 훔쳤다. 이 조직은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러시아 관리의 감독 아래에 있었다.
하지만 우크라이나 정보 당국이 이 같은 사실을 적발해 무기를 회수했다.
우크라이나 정보 당국은 같은달 서부 전선에서 훔친 무기와 탄약을 팔려고 한 무기 밀매업자들과 구호 직원으로 위장해 1만7천달러 상당의 방탄조끼를 훔친 우크라이나 범죄자들을 적발했다.
지난해 8월에는 소총 60개와 탄약 1천여발을 훔친 뒤 암시장에 팔 목적으로 창고에 보관하던 의용군 단원들을 저지했다.
보고서는 서방이 제공한 무기, 장비를 훔치려는 각종 음모가 우크라이나 정보 당국에 의해 저지돼 회수됐다고 설명했다.
미국이 우크라이나에 제공한 무기와 군 장비는 무기수출통제법(Arms Export Control Act)에 따라 추적·감시를 받아야 한다.
보고서는 당시 전쟁 초기여서 현장 파견 직원이 제한돼 무기를 추적·감시하기가 어려웠다고 부연했다.
또 미사일 등 대형 무기는 상대적으로 추적이 쉽지만, 야간 투시 장치 등 소형 장비나 무기들은 감시하기가 더 어렵다고 설명했다.
미국은 보고서가 나온 뒤인 지난해 10월 말 우크라이나 무기 창고에 대한 현장 조사를 재개해 무기 추적·감시를 강화했다.
미 국방부는 우크라이나에 스캐너와 소프트웨어 등 추적 시스템도 제공했다.
abbi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