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전문성·정확성·유용성 등 반응 추가해 서비스 개편 예정
(서울=연합뉴스) 홍국기 기자 = 포털 다음(DAUM)이 기존 뉴스 댓글 서비스를 실시간 채팅 방식인 '타임톡'으로 변경한 이후 그간 댓글 창을 보지 않던 이용자들의 참여가 증가했다는 자체 분석 결과가 나왔다.
26일 카카오[035720] 정책산업연구 브런치에 게재된 올해 2분기 뉴스투명성위원회 회의록에 따르면 다음이 지난달 8일 선보인 타임톡의 한 달간 운영 현황을 발표한 카카오 박용준 미디어팀장은 "그간 댓글 창을 열어보지 않았던 이용자의 타임톡 참여가 증가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기존 다음 댓글 서비스는 댓글 영역이 기본적으로 접힌 상태로 제공됐으며 댓글 '열기/닫기'(ON/OFF) 버튼을 눌러야 이용할 수 있었다.
새로 선보인 타임톡은 '참여하기' 버튼을 눌러야 댓글을 작성할 수 있는 구조다.
다음은 이용자 참여 현황을 집계한 결과라고 설명할 뿐 구체적인 수치를 밝히지는 않았다.
박 팀장은 "그동안 댓글 창을 열어보지 않았던 이용자 중 타임톡을 신규 이용한 이용자 집단에 대해서는 향후 얼마나 많은 이용자가 충성 이용자로 변화하는지 지속해서 살펴볼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지난 11일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카카오판교아지트에서 개최된 회의에는 위원장인 박재영 고려대 미디어학부 교수와 7명의 위원이 참석했다.
타임톡은 기사 발행 후 24시간의 시간제한이 있으며 서비스 적용 시간이 지나면 댓글 창 자체가 사라져 댓글을 작성하거나 다른 사람의 댓글을 확인할 수 없다.
이날 회의에서는 이에 대한 문제 제기가 중점 부각됐다.
김장현 위원(성균관대 인터랙션사이언스학과 교수)은 "커뮤니케이션 공간을 폭파하는 것은 어떻게 보면 댓글 관련 이슈를 회피하기 위한 행동으로 보일 수 있다"며 "내가 쓴 댓글의 보관을 원하는 유저(이용자)에게는 보관 기능을 부여해 주는 방안도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도준호 위원(숙명여대 미디어학부 교수)은 "보도 내용에 대해 내가 표현한 내용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잃어버리게 되는 부분에 대한 보완을 강구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며 "이용자에게 선택권을 주는 방향을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이준웅 위원(서울대 언론정보학과 교수)은 "휘발 공간이라는 것을 인지하고 남기는 댓글이라는 면에서 내용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기에 댓글을 없앤 것보다 더 부정적인 낳게 되는 것은 아닌가도 우려해볼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박 팀장은 "타임톡은 카카오톡 오픈채팅의 유저 사용성과 성장세를 보고 착안한 아이디어"라며 댓글을 추천순·최신순으로 보여줄 경우의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일정 시간이 지나면 댓글을 없애는 방식을 채택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밖에 카카오는 타임톡 댓글 창에서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물음에 현행 5가지로 한정한 감정 표현(추천해요·좋아요·감동이에요·화나요·슬퍼요)을 전문성, 정확성, 유용성 등까지 표현할 수 있도록 3분기 중에 서비스를 개편할 예정이다.
redflag@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