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입 감소에 무역수지 흑자 지속…반도체 경기, 고성능 D램 중심 회복세
소매판매·소비자심리지수는 소폭 하락…"추석 물가 안정 등 민생 역점"
![](https://img.wowtv.co.kr/YH/2023-09-15/PYH2023091503430001300_P2.jpg)
(세종=연합뉴스) 박재현 기자 = '상저하고' 전망을 고수 중인 정부가 지난달에 이어 한국 경제 둔화 흐름이 완화됐다는 진단을 내놨다.
물가 상승세 둔화와 수출 부진 완화, 고용 개선 등으로 경기 회복세가 가시화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기획재정부는 15일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9월호에서 "국제유가 상승 및 계절적 요인에 따른 변동성은 있지만, 경기 둔화 흐름이 일부 완화되는 모습"이라고 설명했다.
'경기 둔화 지속'에서 '경기 둔화 완화'로 표현을 바꾼 지난달에 이어 두 달 연속 같은 취지의 진단이다.
이러한 판단의 근거로 정부는 물가 상승세 둔화 기조 유지와 수출 부진 완화, 소비심리·고용 개선을 들었다.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3.4%로 7월(2.3%)에 비해 상승 폭이 확대됐다.
다만 이는 국제유가 상승과 농산물 가격 불안으로 인한 일시적인 현상이며, 전반적인 둔화 흐름은 유지되고 있다는 게 정부의 판단이다.
지난달 수출은 작년 같은 달보다 8.4% 감소한 518억7천만달러를 기록했지만, 감소 폭은 7월(16.4%)에 비해 둔화했다.
무역수지도 8억7천만달러 흑자를 기록해 3개월 연속 '플러스' 흐름을 이어갔다. 수입이 22.8% 큰 폭으로 감소한 영향이다.
정부는 특히 핵심 수출 품목인 반도체 경기가 점진적으로 회복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고성능 D램(DDR5)을 중심으로 국제 수요 회복 및 가격 상승 추세가 이어지면서 전반적인 반도체 수출 물량과 수출 금액 회복세가 뚜렷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승한 기재부 경제분석과장은 "고부가가치 D램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면서 범용인 DDR4 D램의 가격도 같이 오르는 상황"이라며 "전반적으로 침체했던 반도체 경기가 되살아나는 흐름"이라고 설명했다.
7월 경상수지는 35억8천만달러 흑자였다. 상품수지와 소득수지는 흑자가 유지됐지만, 서비스 수지는 여행수지 악화의 영향으로 적자를 기록했다.
정부는 서비스 수지 적자 지속 및 중간배당 등의 영향으로 8월 경상수지 흑자 폭이 축소될 것으로 전망했다.
![](http://img.yna.co.kr/photo/yna/YH/2023/09/15/PYH2023091503440001300_P2.jpg)
내수 회복세는 다소 주춤하는 모습을 보였다.
7월 소매 판매는 전월보다 3.2%, 전년동월보다 1.7% 감소했다.
지난달 소비자심리지수도 전월보다 0.1포인트(p) 하락한 103.1을 기록했다.
이승한 과장은 "중국 경제위기 우려 등이 보도됐음에도 소비자심리지수는 큰 변동 없이 100 이상을 유지했다"며 "전반적으로 양호한 흐름이 이어진 것으로 볼 수 있다"고 해석했다.
7월 전산업생산은 작년 동월보다 1.4% 감소했다. 서비스업과 건설업 생산은 늘었으나 광공업과 공공행정 생산은 줄었다.
현재 경기를 가늠하는 지표인 경기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보다 0.5p 하락해 기준점인 100 아래(99.6)로 떨어졌다.
지난달 취업자 수는 1년 전보다 26만8천명 증가했다. 집중 호우의 영향을 받았던 전월과 비교하면 증가 폭도 확대됐다.
정부는 "대외적으로는 IT 업황 개선 기대가 이어지는 가운데, 중국 관광객 증가 기대감과 주요국 경기 둔화 우려가 교차하고 있다"며 "통화 긴축 및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원자재 가격 변동성 확대 등 불확실성도 지속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추석 물가안정 등 민생안정에 역점을 두면서 대내외 리스크의 철저한 관리 및 경제 체질 개선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승한 과장은 "누적된 금리와 물가에 따른 제약 요인, 주요 기업들의 감산으로 인한 설비투자 감소 등 경기 회복을 제약하는 요인들은 여전히 남아있다"며 "경각심을 가지고 하반기 수출·투자 활력 제고에 총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traum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