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전엔 G7과 한목소리 내고도 G7 중 5개국 하마스 규탄 성명엔 '불참'
(도쿄=연합뉴스) 박상현 특파원 = 일본 정부가 이스라엘군과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 간 무력 충돌을 진정시키기 위해 이스라엘, 팔레스타인과 각각 개별 전화 회담을 추진하고 있다고 아사히신문과 산케이신문이 11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이르면 이날 중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 마흐무드 압바스 팔레스타인 자치정부 수반과 통화하는 방안을 조율하고 있다.
일본 정부가 이스라엘, 팔레스타인과 각각 이어온 독자적인 네트워크를 활용해 양측과 대화를 시도하고, 이를 통해 무력 사태의 평화적 해결을 모색하고자 한다고 산케이는 전했다.
아사히는 일본의 이 같은 외교 노선을 '균형 외교'로 평가하면서도 "압바스 수반과 전화 협의가 실현돼도 가자지구를 실효 지배하는 하마스와 직접 교섭은 할 수 없기에 사태를 타개할 수 있을지는 불투명하다"고 진단했다.
올해 주요 7개국(G7) 의장국인 일본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해서는 다른 회원국과 함께 한목소리로 러시아를 비판하고 우크라이나 지원을 약속했지만, 이번 중동 사태에서는 G7 서방 회원국과 다른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일본 정부는 전날 무력 충돌을 촉발한 하마스의 이스라엘 기습 공격을 규탄했으나, G7에 속한 서방 5개국이 9일(현지시간) 이스라엘에 대한 지지를 표명한 공동성명에는 이름을 올리지 않았다.
이와 관련, 기시다 총리는 지난 8일 사회관계망서비스 엑스(X·옛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 하마스 공격을 비난한 뒤 가자지구에서도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했다는 점을 언급하며 "모든 당사자에 최대한의 자제를 촉구한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현지 언론은 원유 조달을 중동에 대부분 의지하는 일본 현실을 배경으로 짚었다.
아사히는 "일본은 원유 90% 이상을 중동 지역에서 수입하고 있다"며 "중동 지역의 평화와 안정은 에너지 안보 측면에서 중요한 과제여서 일본은 이스라엘, 아랍 국가들과 우호적 관계를 구축해 왔다"고 분석했다.
아울러 가자지구에 의료 관계자로 추정되는 소수의 일본인이 남아 있는 점도 균형 외교를 추진하는 배경이라고 덧붙였다.
니혼게이자이신문도 "일본은 원유 수입을 중동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주요 수입국인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UAE)의 입장을 신경 쓸 수밖에 없다"며 일본이 그간 동맹국인 미국의 견해를 중시하면서도 중동 문제에서는 독자적인 색을 내왔다고 전했다.
psh59@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