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인수 후보자들 적격자 아니라는 발언은 아냐"
![](https://img.wowtv.co.kr/YH/2023-10-24/PYH2023102407000001300_P2.jpg)
(서울=연합뉴스) 채새롬 기자 = 강석훈 산업은행 회장은 24일 HMM[011200] 매각과 관련해 "적격 인수자가 없다면 반드시 매각할 이유가 없고 그래서도 안 된다"고 말했다.
강 회장은 이날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적격 인수자가 없다고 판단하더라도 HMM을 이번 입찰에서 반드시 매각할 것이냐"는 윤주경 국민의힘 의원 질의에 대해 이처럼 답했다.
그는 이후 비슷한 취지의 양정숙 의원 질의에 대해 "현재 응모자들이 적격자가 아니라는 발언은 아니었다"며 "원론적인 말씀을 드렸고 현재 인수 의사를 보인 기업들이 각 부문에서 굉장히 높은 평가를 받고 있는 기업이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강 회장은 HMM 경영 정상화가 충분히 진행되지 않았는데 섣불리 민간기업에 매각했다가 HMM을 인수한 기업까지 위태로워질 수 있다는 윤 의원의 지적에 대해서는 "HMM의 경쟁력이 많이 올라온 상황"이라며 "인수 후보자들을 잘 살펴보고 해운산업 종사 실적 등을 다 고려해서 적격 후보자를 잘 선정하겠다"고 덧붙였다.
1조원 규모의 영구채 주식 전환에 대해서는 "소액주주를 생각하면 쉽게 결정 내릴 수 있는 문제는 아니지만, 은행이 공적 기관이고 배임 문제가 걸려 있기 때문에 종합적으로 고려할 수밖에 없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말했다.
산업은행과 한국해양진흥공사(해진공) 등 HMM 매각 측은 입찰적격후보(숏리스트)로 동원산업[006040], 하림·JK파트너스 컨소시엄, LX인터내셔널[001120] 등 3곳을 추려 지난달 6일부터 실사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다음 달 최종입찰을 진행해 우선협상대상자를 정할 계획이다.
산업은행은 그간 연내 HMM 매각을 마무리하겠다는 입장을 여러 차례 밝혀 왔으나, 업계에서는 HMM의 매각가격이 5조∼7조원 정도로 전망되는 상황에서 후보 세 곳 모두 자체 여력으로 HMM을 인수하기 어려운 탓에 유찰 가능성이 있다는 의구심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산업은행과 한국해양진흥공사는 지난 20일 1조원 규모의 HMM 영구채를 주식으로 전환했다.
srcha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