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마블 적자 축소 전망…올해 '흥행신작' 여부 따라 희비
![](https://img.wowtv.co.kr/YH/2023-10-26/PYH2022112007180005100_P2.jpg)
(서울=연합뉴스) 김주환 기자 = 3분기 실적 발표를 앞둔 주요 게임사들의 희비가 흥행 신작 유무에 따라 크게 갈릴 전망이다.
26일 연합인포맥스에 따르면 상장 게임사 중 시가총액 1위인 크래프톤[259960]의 3분기 영업이익에 대한 증권사들의 평균 전망치는 작년 3분기보다 3% 늘어난 1천445억원, 순이익은 42.3% 급감한 1천306억원이다.
이는 2분기와 비교해 영업이익 9.9%, 당기순이익 1.6% 늘어난 것인데, 상반기까지 대형 신작을 내놓지 않은 크래프톤은 올해 기조를 비용 효율화로 잡고 내년 이후 선보일 신작 개발에 힘을 쏟고 있다.
게임업계 시가총액 2위 엔씨소프트[036570]는 3분기 영업이익이 233억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83.9%, 분기 순이익은 352억원으로 80.7% 급감할 것으로 전망됐다.
엔씨소프트는 2021년 11월 선보인 '리니지W'의 흥행으로 지난해 높은 실적을 기록했으나, 이후 경쟁작 다중접속 역할 수행게임(MMORPG)이 잇달아 출시되며 매출이 빠르게 감소했다.
엔씨소프트는 12월 '쓰론 앤 리버티' 국내 출시를 시작으로 2024년 다수의 신작을 PC·모바일·콘솔 플랫폼으로 선보일 계획이다.
![](http://img.yna.co.kr/photo/cms/2021/04/14/04/PCM20210414000004017_P2.jpg)
신작 개발이 장기화하며 올해 신작이 나오지 않은 펄어비스[263750]도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53.3% 하락한 56억원, 당기순이익은 43.7% 감소한 120억원으로 예상됐다.
반면 위메이드[112040]는 전년 동기 대비 흑자 전환이 예상된다.
위메이드는 3분기 매출이 2천236억 원으로 작년 3분기 대비 106%나 급증하고 영업이익 404억원, 당기순이익 219억원을 기록하며 흑자 전환할 것이란 관측이 나왔다.
지난 4월 서비스를 시작한 '나이트 크로우'가 국내 앱 마켓에서 리니지류 MMORPG 이용층을 흡수하며 장기 흥행작으로 자리 잡은 것이 매출 상승을 견인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올해 2분기까지 6개 분기 연속 적자를 낸 넷마블[251270]도 3분기는 적자가 상당한 폭으로 개선될 전망이다.
넷마블의 3분기 예상 실적은 영업손실 148억원, 당기순손실 186억원으로 지난해 3분기 영업손실 380억원·당기순손실 2천775억원 대비 크게 줄어들 것으로 예상됐다.
넷마블은 지난 7월 출시한 '신의 탑: 새로운 세계'가 흥행에 성공했다. 지난 9월 선보인 '세븐나이츠 키우기'도 국내 앱 마켓 매출 순위 상위권에 오르며 4분기 실적에 기여할 전망이다.
![](http://img.yna.co.kr/photo/cms/2023/03/30/30/PCM20230330000230017_P2.jpg)
jujuk@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