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wowtv.co.kr/YH/2023-10-26/AKR20231026061500009_01_i.jpg)
(서울=연합뉴스) 한성간 기자 =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 환자는 전신에 걸쳐 만성적인 건강 문제 발생률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 자폐증 연구센터(ARC)의 엘리자베스 위어 박사 연구팀이 ASD 환자 1천176명(16~90세)과 같은 연령대의 일반인 1천176명의 의료기록을 비교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메디컬 익스프레스(MedicalXpress)가 25일 보도했다.
연구팀은 이들의 의료기록을 통해 위장, 내분비, 근골격, 신경, 눈, 신장/간장, 이비인후, 혈관, 피부 등 9개 신체 조직에서 발생하는 60가지 질환을 살펴봤다.
그 결과 전체적으로 ASD 환자는 일반인보다 9개 신체 조직 모두에서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밝혀졌다.
ASD 환자는 특히 셀리악병, 담낭 질환, 자궁내막증, 실신, 현훈, 요실금, 습진, 철분결핍 빈혈 등 33가지 질환 발생률이 높았다.
ASD 환자는 중추 감작 증후군(CSS) 발생률도 대조군보다 높았다.
CSS에는 과민성 장 증후군, 관절 증후군, 악관절 증후군, 편두통, 만성 피로증후군, 근육통성 뇌수막염, 이명, 섬유근육통 등이 포함된다.
여성 ASD 환자는 드문 질환인 엘러스-단로스 증후군(EDS) 발생률이 대조군보다 높았다.
EDS는 신체 세포와 조직을 서로 붙잡아 주는 콜라겐의 결함으로 발생하는 질환으로 관절이 지나치게 부드럽고 느슨해 쉽게 탈골되고 피부도 느슨하고 얇고 잘 늘어져 쉽게 상처를 입으며 상처 회복도 느리다. 소화 장애, 탈장도 나타난다.
이 결과는 연령, 성별, 종족, 교육 수준, 음주, 흡연, 체중, 가족력 등 다른 변수들을 고려한 것이라고 연구팀은 밝혔다.
지금까지 ASD 환자는 복통, 수면장애, 발작(뇌전증) 등 특이 질환이 나타날 가능성이 큰 것으로만 알려져 왔다.
그러나 전에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광범하고 다양한 건강 문제들이 동반될 위험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온라인 과학전문지 바이오메드 센트럴(BioMed Central)이 발행하는 '분자 자폐증'(Molecular Autism) 최신호에 발표됐다.
skha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