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2030년까지 달성할 핵심 기술목표-투자·정책방향 제시"
(서울=연합뉴스) 조승한 기자 = 정부가 인공지능(AI) 분야에서 데이터와 전력 소모량을 50% 절감하는 학습모델을 개발하고 인공일반지능(AGI) 및 설명가능한 AI(XAI) 기술을 확보한다는 연구개발(R&D) 임무 로드맵을 내놨다.
첨단바이오 분야에서는 디지털과 바이오 융합을 활용한 합성생물학 기술로 바이오제조 효율을 10배 높이고, 한국인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 유전물질 전달기술 확보에도 나서기로 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31일 서울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국가전략기술 특별위원회를 열어 AI와 첨단바이오 분야 임무중심 전략로드맵을 심의·의결했다.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전략로드맵은 기술 주권 확보가 필요한 핵심 기술을 식별해 2030년까지 달성해야 할 임무를 설정하고 이를 토대로 길목기술을 정하는 접근법을 적용해 만들어졌다.
지난 8월 반도체·디스플레이, 이차전지, 첨단 모빌리티 등 기술패권 경쟁 3개 분야 로드맵을 발표한 데 이어 이번에는 신흥·핵심기술 분야 로드맵을 수립했다고 과기정통부는 설명했다.
이날 발표된 로드맵에 따르면 AI 분야는 ▲ 효율적 학습 및 AI인프라 고도화 ▲ 첨단 모델링·의사결정 ▲ 산업활용·혁신AI ▲ 안전·신뢰AI 등을 4개 중점기술로 정하고 세부 목표를 제시했다.
AI 학습에 필요한 데이터와 컴퓨팅, 전력 부담을 50% 이상 경량화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 초소량 데이터학습, AI 간 협업, 상식추론, 멀티모달, 뇌신경망 모사 등 인간에 가까운 AGI 원천기술을 확보한다.
최근 유럽연합 AI법 등 주요국 중심 AI 규범 기술블록화에 대응하기 위한 AI 신뢰성 고도화 기술도 개발하고,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생태계 조성에도 나선다.
첨단바이오 분야는 ▲ 합성생물학 ▲ 유전자·세포치료 ▲ 감염병 백신·치료 ▲ 디지털 헬스데이터 분석·활용 등 4개 중점기술 로드맵을 수립했다.
합성생물학은 AI와 로봇을 적용해 바이오 부품의 설계와 생산효율을 10배까지 높이는 기술 확보에 나서고, 바이오 부품 초고속 발굴, 배양, 정제 등 공정 기술 개발과 함께 제조공정을 디지털트윈화(가상모형화) 하는 기술도 개발한다.
난치성 질환에 대한 신물질 치료제 임상 진입을 목표로 리보핵산(RNA) 플랫폼과 같은 유전물질 전달 기술과 차세대 세포치료제 개발도 추진한다.
100만 명 이상을 목표로 한국인 바이오 빅데이터를 구축하는 한편 연구개발을 뒷받침할 기반 구축에도 나선다.
주영창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인공지능과 첨단바이오는 기술패권 경쟁뿐 아니라 우리 미래세대의 성장과 모든 산업의 혁신을 이끌 기술"이라며 "임무중심적 연구개발 및 초격차 기술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
shj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