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안전공단 분석…오래되고 많이 달린 차가 부적합률 높은 편
자동차검사 교통사고 예방·환경개선 효과 2조194억원
![](https://img.wowtv.co.kr/YH/2023-10-31/AKR20231031089300003_01_i.jpg)
(서울=연합뉴스) 임성호 기자 = 작년 자동차검사를 받은 차량 중 21.5%가 안전상 문제 등으로 부적합 판정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교통안전공단은 지난해 국내에서 총 1천288만8천여대의 차량이 자동차검사를 받았으며, 이 가운데 1천11만4천여대(78.5%)는 적합, 나머지 277만3천여대(21.5%)는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고 31일 밝혔다.
검사를 받은 자동차 5대당 1대꼴로 부적합 사항이 발견된 셈이다.
작년에 검사받은 자동차는 지난 2021년보다 2.3%(29만4천대) 늘어났다.
민간 자동차 검사소가 아닌 교통안전공단이 직접 검사한 자동차는 276만8천대였다.
차종별로는 승용차가 약 241만대로 가장 많았으며, 화물차가 22만5천여대, 승합차가 12만7천여대, 특수차량이 6천500여대였다.
연료별로 보면 휘발유가 142만3천여대, 경유가 100만여대, 액화석유가스(LPG) 21만2천여대, 하이브리드 9만5천여대, 전기 1만9천여대, 압축천연가스(CNG) 1만3천여대, 기타 3천600대였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3/10/31/AKR20231031089300003_02_i.jpg)
공단에서 시행한 자동차검사 가운데 부적합 판정이 내려진 사례는 65만3천대(23.59%)로 집계됐다.
부적합률은 대체로 차령이 높고, 주행거리가 길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차령이 14년 이상일 때 39.18%로 가장 높았고, 12∼13년 사이일 때 37.8%로 뒤를 이었다.
주행거리로 보면 20만㎞ 이상에서 41.29%로 부적합률이 가장 높았고, 1만∼2만㎞ 구간에서 5.78%로 가장 낮았다.
공단은 지난해 이뤄진 전체 자동차검사의 경제적 편익을 산출한 결과 연간 교통사고 4만건을 예방하고, 일산화탄소 1만t을 저감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3/10/31/AKR20231031089300003_03_i.jpg)
공단에 따르면 자동차검사의 비용 대비 편익(B/C)은 1.8로, 교통사고 예방 및 환경개선 효과를 금전적 가치로 환산하면 2조194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단 권용복 이사장은 "공단은 차량 특성에 맞춘 자동차검사 제도 운용을 위해 전기 및 이륜차 검사 데이터 분석 등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며 "정확한 자동차검사와 안전관리를 통해 국민의 교통안전을 확보하고, 생명과 재산을 지키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작년 자동차검사에 관련 자세한 통계는 다음 달부터 국가통계 포털(http://kosis.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3/10/31/AKR20231031089300003_04_i.jpg)
sh@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