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이전 150개→올해 20개…양안 관계 갈등 영향 관측
(선양=연합뉴스) 박종국 특파원 = 5일 개막한 중국 국제수입박람회(CIIE)가 역대급 규모를 자랑하지만, 대만 기업들의 참가는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https://img.wowtv.co.kr/YH/2023-11-06/AKR20231106129100097_01_i.jpg)
6일 대만 중앙통신사 보도에 따르면 전날 상하이에서 개막해 오는 10일까지 열리는 제6회 중국 국제수입박람회에 대만에서는 20개 업체만 참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2018년 열린 제1회 때 110여 개 업체가 참여했고, 이듬해인 2019년 2회 때는 150여 개로 늘어났던 것과 비교하면 80% 이상 급감한 것이다.
2018년 시작된 이 박람회는 중국이 대외 개방과 수입 확대를 위해 국가 차원에서 개최하는 행사다.
중국의 지방정부와 국영·민영 기업들이 구매 사절단으로 참여하기 때문에 외국 기업들로서는 중국 내수시장 진출을 위한 중요한 플랫폼으로 평가된다.
시 주석이 직접 기획해 추진하는 등 상당히 공을 들이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시 주석은 1회 때부터 개막식에서 직접 기조연설을 했고, 코로나19 기간에는 화상으로 개막식 축사를 대신했다.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2020년부터 온라인 위주로 진행하다 3년 만에 제대로 열리는 이번 박람회에는 130여개국에서 3천400여 개 기업이 참가했다.
박람회 주최 측은 세계 500대 기업과 업계 선도 기업, 혁신적인 중소기업 참가 규모가 역대 박람회 중 가장 크다고 밝혔다.
한국에서도 무역협회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주관으로 역대 최대 규모인 총 212개 기업이 참가했다.
미국 역시 연방정부 차원으로는 처음으로 농무부가 인솔하고 아이다호 등 2개 주(州)정부, 15개 기업으로 구성된 대표단이 참가해 미중 무역 시장 개방의 양호한 신호로 해석됐다.
또 앤서니 앨버니지 호주 총리, 마누엘 마레로 쿠바 총리, 키리아코스 미초타키스 그리스 총리 등이 개막식에 참석하기도 했다.
이런 상황에서 유독 대만 기업들의 참가만 이전보다 큰 폭으로 감소해 대조를 이뤘다.
중국 내 대만 기업들의 조직인 '중국 대륙 전국 대만기업 연합회'의 리정훙 회장은 "박람회 참가 문턱이 높아졌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이전 박람회 때 참가했던 대만의 많은 중소기업이 자격 요건을 갖추지 못해 참가하지 못했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그러나 대만 독립을 지향하며 미국과 군사·경제적으로 밀착하는 민주진보당(민진당) 집권 이래 첨예하게 대립하고 갈등이 고조하는 양안 관계의 영향일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리 회장도 "기업들은 전시 효과와 비용의 효율성 등을 고려해 박람회 참가 여부를 결정한다"며 "많은 이익을 얻을 수 있는지 확인하고, 이익이 많지 않다고 판단되면 불참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양안 관계가 껄끄러운 상황에서 많은 대만 기업이 이번 박람회 참가가 실익이 없을 것으로 보고 '보이콧'했을 수 있다는 이야기로 풀이된다.
pjk@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