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리시장 "통합" vs 용인·오산시장 "자족기능 강화"
![](https://img.wowtv.co.kr/YH/2023-11-15/PYH2023111509780001300_P2.jpg)
(세종=연합뉴스) 박초롱 기자 = 15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진행된 신규 택지 브리핑에서는 '메가서울'을 둘러싼 수도권 기초자치단체장들의 온도 차이가 뚜렷하게 드러났다.
서울과 경계를 접한 구리시는 주민투표를 통한 통합 필요성을 피력했고, 인구 100만명이 넘는 '특례시'인 용인시는 자족 기능 강화를 앞세웠다.
이날 브리핑에는 수도권 신규 택지 후보지의 지자체장인 백경현 구리시장, 이상일 용인시장, 이권재 오산시장이 참석했다. 세 사람 모두 여당인 국민의힘 소속이다.
서울 편입 의지를 적극적으로 드러내 온 백경현 구리시장은 취재진이 앞으로의 계획을 묻자 "현재 논의되는 것은 국회가 특별법을 입법하고, 주민투표 방식으로 의견을 묻는 것"이라며 "서울시·구리시 주민이 동의하느냐가 관건"이라고 말했다.
백 시장은 "이번 회기나 (총선 이후 구성되는) 22대 국회에서 특별법이 입법되면 그때 주민투표를 통해 통합을 현실화하겠다"며 "구리시의 서울 편입이 이뤄지면 환경·교통 협의 절차가 생략되기에 신규 택지 개발도 빠르게 진행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밝혔다.
구리시는 인구 19만명의 작은 도시이기에 자족도시 기능을 발휘하기 어렵고, 서울로 편입되면 각종 개발 때 편익을 높일 수 있다는 게 백 시장의 입장이다.
![](http://img.yna.co.kr/photo/yna/YH/2023/11/15/PYH2023111509830001300_P2.jpg)
서울과 거리가 떨어져 있는 용인, 오산시는 편입 논의에 별다른 관심이 없다.
이상일 용인시장은 "용인은 이미 인구 110만의 특례시"라며 "대한민국 최대의 반도체 생태계가 갖춰질 것이고, 인구도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기 때문에 자족 기능을 갖춘 도시로 가는 게 맞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서울 편입 논의는 거의 나오지 않고 있다"고 했다.
이권재 오산시장도 '인구 50만 경제 자족도시'를 강조했다.
그는 "오산은 과거 화성과 묶여 있던 지역이기에 저는 화성-오산-수원의 지역 균형 발전 문제에 관심이 있다"고 밝혔다.
김오진 국토부 차관은 "김포나 구리의 서울 편입은 여당에서 이야기가 나왔고, (정부에서는) 아직 검토 단계도 아닐 듯하다"고 말했다.
chopark@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