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역조건도 5개월 연속 개선…수입금액지수는 8개월째 내림세
![](https://img.wowtv.co.kr/YH/2023-11-29/PCM20230520000011003_P2.jpg)
(서울=연합뉴스) 한지훈 기자 = 고부가가치 차량의 해외 판매가 늘고 정유사 가동률이 높아지면서 지난달 수출금액지수가 13개월 만에 상승세로 돌아섰다.
수입 가격이 수출 가격보다 더 떨어지면서 교역 조건도 5개월 연속 개선됐다.
한국은행이 29일 발표한 무역지수 및 교역조건 통계에 따르면 10월 수출금액지수는 128.13(2015년=100)으로 전년 동월 대비 2.4% 상승했다.
지난해 10월부터 올해 9월까지 12개월 연속 하락하다 상승 전환했다.
![](http://img.yna.co.kr/etc/graphic/YH/2023/11/29/GYH2023112900090004400_P2.jpg)
품목별로 컴퓨터·전자 및 광학기기(-4.6%), 화학제품(-3.5%) 등이 감소했으나, 운송장비(13.2%), 석탄 및 석유제품(17.4%) 등이 증가했다.
유성욱 한은 물가통계팀장은 브리핑에서 "북미 시장 중심으로 친환경 차와 스포츠유틸리티차(SUV) 판매 호조세가 지속됐다"며 "정유사들의 정기 보수 기간이 종료됨에 따라 가동률이 상승해 수출 물량이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10월 수출물량지수(125.29)는 지난해 10월보다 7.4% 상승했다. 이 지수는 지난 9월 석 달 만에 상승 전환한 뒤 두 달 연속 올랐다.
섬유 및 가죽제품(-6.9%), 전기장비(-0.1%) 등이 감소했으나, 석탄 및 석유제품(28.6%), 컴퓨터·전자 및 광학기기(6.1%) 등이 증가했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3/11/29/AKR20231129073100002_01_i.jpg)
10월 수입금액지수는 147.76으로 전년 동월 대비 10.5% 내렸다. 지난 3월(-6.6%) 이후 8개월 연속 하락세다.
개별 품목 중에는 광산품(-20.1%), 컴퓨터·전자 및 광학기기(-10.3%) 등이 크게 감소했다.
수입물량지수(123.73)는 지난해 10월보다 5.0% 하락했다. 이 지수도 지난 7월(-10.6%) 이후 4개월째 내림세를 나타냈다.
수출입금액지수는 해당 시점 달러 기준 수출입금액을 기준시점(2015년) 수출입금액으로 나눈 지표이고, 수출입물량지수는 이렇게 산출된 수출입금액지수를 수출입물가지수로 나눈 것이다.
10월 순상품교역조건지수(85.64)는 1년 전보다 1.1% 올라 5개월 연속 상승했다.
수입가격(-5.8%)이 수출가격(-4.7%)보다 더 크게 내렸기 때문이다.
유 팀장은 "반도체 수출 가격이 상승 전환한 가운데 광산품 수입 가격이 하락해 순상품교역조건지수가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이 지수는 수출상품 한 단위 가격과 수입 상품 한 단위 가격의 비율로, 우리나라가 한 단위 수출로 얼마나 많은 양의 상품을 수입할 수 있는지 가늠할 수 있는 지표다.
10월 소득교역조건지수(107.30)는 수출물량지수(7.4%)와 순상품교역조건지수(1.1%)가 모두 상승해 전년 동월 대비 8.6% 올랐다. 지난 6월부터 5개월째 상승세다.
소득교역조건지수는 우리나라 수출 총액으로 수입할 수 있는 전체 상품의 양을 나타낸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3/11/29/AKR20231129073100002_02_i.jpg)
hanjh@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