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게 변한 백지에 관객들 박수…한국 미술 특별전 기간 마지막 퍼포먼스
![](https://img.wowtv.co.kr/YH/2023-12-02/AKR20231201017900072_06_i.jpg)
(뉴욕=연합뉴스) 고일환 특파원 = 1일(현지시간) 오후 미국 뉴욕의 구겐하임 미술관 2층 갤러리에선 레바논계 미국 시인 에텔 아드난의 시집 '서지'(Surge)가 낭독됐다.
마이크 앞에 선 여성은 시를 읽은 뒤 해당 페이지를 찢어 옆에 앉은 남성에게 건넸다.
이 남성은 찢어진 페이지 위에 담긴 시의 내용을 목탄으로 흰 종이에 써 내려갔다. 남성은 내용을 모두 옮긴 뒤 찢어진 페이지를 구겨 던져버렸다.
시간이 지나면서 남성 앞의 흰 종이는 빈공간을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검은 선으로 빽빽하게 채워졌다. 20페이지에 달하는 시 내용을 종이 한 장 위에 겹쳐서 썼기 때문이다.
반대로 시집은 표지를 제외하고 거의 모든 페이지가 찢겨나갔다.
2층 갤러리를 채운 관객들은 종이에 더 이상 채울 빈공간이 사라지면서 시낭독이 종료되고, 목탄을 든 남성이 자리를 떠나자 그제야 박수를 보냈다.
30여분간 진행된 이 퍼포먼스는 한국 실험미술계의 원로 김구림(87) 작가의 퍼포먼스 '생성에서 소멸로'를 재현한 것이다.
내년 1월까지 '한국 실험미술 1960-70년대'라는 특별전을 열고 있는 구겐하임미술관은 앞서 한국 실험미술의 선구자로 불리는 이건용(81)과 성능경(79) 작가의 퍼포먼스도 소개했다.
김 작가의 '생성에서 소멸로'는 구겐하임 미술관이 이번 전시 기간에 준비한 한국작가의 마지막 퍼포먼스다.
이 작품은 시를 읽고 이를 종이에 적는 행위는 '생성'을, 찢어버린 시집과 까맣게 변한 흰 종이는 '소멸'을 의미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국립현대미술관과 함께 이번 전시회를 공동 기획한 안휘경 구겐하임 어소시에이트 큐레이터는 "김 작가의 '생성에서 소멸로'는 많은 의미를 담은 아름다운 작품"이라고 평가했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3/12/01/AKR20231201017900072_04_i.jpg)
앞서 서울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지난 6월 이 작품이 재현됐을 때에는 한국 여성 연극배우가 윤동주와 김소월 시인 등 한국 시인들의 시를 낭독했다.
그러나 뉴욕 구겐하임 미술관이 김 작가의 퍼포먼스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미국 관객들을 위해 미국인 낭독자가 영어 시집을 읽는 것으로 형식이 변경됐다.
김 작가는 지난 6월 국립현대미술관에서는 휠체어를 타고 퍼포먼스를 지켜봤지만, 뉴욕 퍼포먼스는 참석하지 못했다.
김 작가는 비디오아트와 설치, 판화, 퍼포먼스, 회화 등 매체와 장르, 주제를 자유롭게 넘나든 원로작가다.
특히 미술뿐 아니라 무용, 연극, 영화, 음악에 이르기까지 전방위에서 활동한 '총체 예술가'로도 평가받고 있다.
koma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