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부, 국가 나노팹 서비스 통합 시스템 8일 운영 개시
![](https://img.wowtv.co.kr/YH/2024-01-07/AKR20240107016300017_01_i.jpg)
(서울=연합뉴스) 나확진 기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기관별로 운영하던 국가 나노팹 서비스를 온라인에서 한곳에 모아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하는 '팹 서비스 통합정보시스템'(모아팹·MoaFab)을 8일부터 시범 운영한다고 7일 밝혔다.
나노팹이란 나노기술을 연구·개발하거나 이를 적용한 소재 등 시제품을 제작할 수 있는 장비ㆍ시설을 말한다. 국내에는 나노종합기술원(NNFC), 한국나노기술원(KANC), 나노융합기술원(NINT)과 각 대학·연구기관 등 여러 곳에 설치돼 있다.
정부는 이 같은 나노팹 간 데이터를 표준화하고 이용자 서비스와 기관 팹 관리시스템을 구축, 모아팹(www.moafab.kr) 시범운영을 시작한다.
이용자들은 이 사이트에서 여러 팹 기관의 장비에 대한 정보를 살펴볼 수 있고 바로 서비스 신청과 관리를 할 수 있으며, 진행 현황을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나노팹 기관들 역시 휴대 단말기로 서비스 조회·처리가 가능하며, 기관 간 공정연계 서비스 기능 등을 제공받아 나노팹 운영의 효율성과 편리성이 향상될 것으로 과기정통부는 기대했다.
1단계 서비스 대상 기관은 나노종합기술원, 한국나노기술원, 나노융합기술원 등 세 곳이고, 3월에 시범운영을 마치고 본 서비스가 시작한 이후 하반기에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서울대 반도체공동연구소(isrc),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으로 서비스가 확대된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4/01/07/AKR20240107016300017_02_i.jpg)
과기정통부는 이후 다른 대학과 연구기관에서 운영 중인 나노팹 시설들로 모아팹 참여를 확대할 예정이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모아팹 서비스가 개시되면 전국의 나노팹을 쉽게 접근할 수 있어서 이용자들의 편의성이 향상되고 그간 어려웠던 팹 간 연계 서비스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ra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