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료 방송 이용자 3명 중 1명은 가입 해지 고려"

입력 2024-01-23 09:27  

"유료 방송 이용자 3명 중 1명은 가입 해지 고려"
컨슈머인사이트 조사…"OTT로 인한 코드 커팅 현실화"



(서울=연합뉴스) 이정현 기자 = TV 시청 감소와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의 약진이 맞물려 유료 방송 가입 해지를 고려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시장조사 조사기관 컨슈머인사이트는 국내 19세 이상 유료 방송 이용자 2만545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케이블과 IPTV 등 유료 방송 이용자의 37%가 유료 방송을 해지하고 코드가 필요 없는 새로운 플랫폼으로 이동하는 것, 즉 '코드 커팅'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방송 유형별로는 케이블TV 이용자가 41%로 IPTV 이용자(36%)보다 좀 더 높았고, 성별로 여성(39%)이 남성(36%)보다 높았다. 연령대별로는 30대(42%)가 가장 높았고 그 뒤로 20대와 40대(각 39%), 10대(38%) 순이었다. 50대(34%), 60대 이상(31%)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코드 커팅을 고려하는 이유(복수 응답)는 'TV를 보는 일이 줄어서'(31%) 'TV에 볼 만한 것이 별로 없어서'(30%)가 엇비슷한 수준에서 높았고, 'OTT로 충분해서'(27%) '요금이 부담돼서'(26%) 순이었다.
코드 커팅 의향률이 가장 높은 30대는 'OTT로 충분해서'가 36%로 두드러지게 높았다.
TV 시청 감소는 스마트폰, 게임, OTT 등 뉴미디어의 부상에 따른 시대적 추세라고 컨슈머인사이트는 설명했다.
실제 조사에서 하루 TV 시청 시간은 평균 2시간으로, 스마트폰 사용 시간(평균 4.8시간)의 절반에도 크게 못 미쳤다.
그나마 TV 시청 시간의 28%는 OTT를 보는 데 할애하고 있었다.
VOD 시청 비율이 9%였고 본연의 기능인 실시간 방송 시청 비율은 63%에 그쳤다. 여기서도 30대는 OTT 시청 비율이 39%로 제일 높았다.
IPTV 3사는 OTT 시청자를 TV로 유인하기 위해 OTT 업체와 제휴를 늘리고 있다.
컨슈머인사이트는 이에 대해서도 "인터넷만 연결하면 OTT 시청이 가능한 스마트TV가 보편화돼 OTT 위주의 시청자라면 매달 요금을 납부하며 유료 방송을 유지할 이유는 줄어든다"면서 "무엇보다 시·공간의 제약 없이 다양한 장르의 콘텐츠를 거의 무제한 골라 볼 수 있는 OTT의 대세를 당해내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고 했다.

lis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