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간 1천300만개 생산…기능통합형 제품도 개발
(서울=연합뉴스) 김보경 기자 = 현대차그룹의 자동차부품 계열사인 현대위아[011210]는 지난해 유럽과 북미 완성차 업체들로부터 총 1조450억원 규모의 등속조인트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24일 밝혔다
등속조인트는 전기차 모터나 내연기관차 엔진이 만든 동력을 자동차 바퀴로 전달하는 부품이다.
![](https://img.wowtv.co.kr/YH/2024-01-24/AKR20240124046600003_02_i.jpg)
현대위아는 기계공학 기술을 활용해 등속조인트의 NVH(소음·진동·불편감)를 최소화하는 동시에 무게를 대폭 줄였고, 그 결과 모터나 엔진으로부터 나온 동력을 최소한의 손실로 바퀴까지 전달하는 데 성공했다.
또 전기차에 특화한 고효율·저진동 등속조인트도 개발했다.
현대위아는 기존의 등속조인트를 인접 시스템과 결합한 '기능통합형 드라이브 액슬'(IDA)도 생산 중이다.
IDA는 동력을 바퀴로 전달하는 축인 드라이브 샤프트(Drive Shaft)와 이를 바퀴에 연결하는 휠 베어링(Wheel Bearing)을 하나로 통합한 제품으로, 부품 무게를 줄이고 강성을 높여 주행 성능을 향상시킨다. IDA는 현재 현대차의 아이오닉5와 기아 EV6 등에 탑재된다.
현대위아는 1988년 등속조인트 첫 생산 이후 2017년 국내 부품사 처음으로 누적 생산 1억개를 돌파한 바 있다.
등속조인트 연간 생산량도 지난 2019년 1천144만개에서 지난해에는 1천312만개로 늘었고, 중국 강소법인, 인도법인, 멕시코법인 등 해외 법인에서도 연 500만개 이상의 제품을 생산 중이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4/01/24/AKR20240124046600003_03_i.jpg)
현대위아 관계자는 "적극적인 연구개발(R&D)을 통해 최고 수준의 모빌리티 부품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vivid@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