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항만물동량은 0.5% 감소한 3억9천137만t
![](https://img.wowtv.co.kr/YH/2024-04-29/PYH2024010110100005100_P2.jpg)
(서울=연합뉴스) 김윤구 기자 = 올해 1분기 전국 항만 컨테이너 처리 물동량이 777만 TEU(20피트 길이 컨테이너)로 작년 동기(734만 TEU) 대비 5.9% 증가했다고 해양수산부가 29일 밝혔다.
컨테이너 수출입 물동량은 4.0% 증가한 434만 TEU다.
주요 교역국인 미국과 중국 물동량은 생산·소비 지표 개선에 따라 각각 20.6%와 8.3% 증가했다. 다만 러시아와 일본 물동량은 감소했다.
환적물량은 9.1% 증가한 339만 TEU를 처리했다.
수출입 컨테이너 물동량을 주요 항만별로 보면 부산항은 5.9% 증가한 601만 TEU로 1분기 역대 최대 물동량을 처리했다.
부산항 수출입은 3.2% 늘고 환적은 8.3% 증가했다.
인천항은 8.1% 증가한 87만 TEU를 처리했다.
광양항은 7.6% 늘어난 48만 TEU를 기록했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4/04/29/AKR20240429063400030_01_i.jpg)
1분기 비컨테이너 화물 물동량은 모두 2억5천903만t(톤)으로 작년 동기 대비 3.4% 감소했다. 광양항, 평택·당진항, 인천항은 감소세를 보였으나 울산항은 증가했다.
품목별로 보면 자동차 물동량은 2.3% 줄어든 2천334만t이다. 유류는 3.8%가, 광석은 3.7%가 각각 줄었으며 유연탄은 5.3% 감소했다.
전국 무역항에서 처리한 총 물동량은 3억9천137만t으로 전년 동기보다 0.5% 감소했다.
1분기 수출입 물동량은 3억3천469만t, 연안 물동량은 5천668만t으로 각각 0.5% 줄었다.
항만별로 보면 부산항, 울산항, 인천항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4.8%, 2.8%, 1.3% 증가했고 광양항, 평택·당진항은 각각 1.3%, 8.2% 감소했다.
강도형 해수부 장관은 "미국과 중국 등 주요국 생산·소비지표 개선으로 1분기까지 컨테이너 물동량이 증가세를 보였다"며 "홍해 통항 중단, 신 해운동맹 출현 등 항만 물류 여건의 불확실성이 높아지는 가운데 수출입 물류에 차질이 없도록 관련 업계와 지속해 소통하겠다."라고 말했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4/04/29/AKR20240429063400030_02_i.jpg)
ykim@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