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연구원 보고서…"中국가 차원 스마트공장 확산 노력 유효"
![](https://img.wowtv.co.kr/YH/2024-05-28/PCM20200110000229990_P2.jpg)
(서울=연합뉴스) 이승연 기자 = 전체 글로벌 자동차 등대공장 중 절반 이상이 중국에 위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자동차연구원 윤자영 책임연구원은 '등대공장을 통해 본 자동차 제조공정 혁신동향' 보고서를 통해 전 세계 자동차산업 등대공장 중 58.8%가 중국에 있다고 27일 밝혔다.
등대공장은 등대가 배를 안내하는 것처럼 사물인터넷(IoT),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인공지능(AI) 등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을 활용해 제조업 혁신을 이끄는 공장을 말한다.
세계경제포럼(WEF)은 2018년부터 기술개발 척도, 인적 구성 등을 평가해 매년 등대공장을 선정하고 있다.
작년 12월 기준 WEF가 선정한 전 세계 등대공장은 총 153개이며, 이중 배터리 업체를 포함한 자동차산업 내 기업은 17개(11.1%)다.
자동차산업은 전기전자(32%), 바이오 및 의료기기(20%) 산업에 이어 세 번째로 등대공장이 많은 산업군이었다.
자동차산업 등대공장의 경우 전동화 수요를 충족하고 자율 제조, 부품 공용화를 통한 원가 혁신, 개별 수요자가 원하는 맞춤형 제품 대응이 가능하다는 것이 주된 특징이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4/05/27/AKR20240527129900003_01_i.jpg)
자동차 등대공장의 국가별 분포를 살펴보면 중국이 10개(58.8%)로 가장 많았고, 프랑스·튀르키예 각 2개, 인도·브라질·독일 각 1개를 차지했다.
한국의 경우 포스코, LG전자, LS산전 등이 등대공장으로 선정됐으나, 자동차 분야에서 선정된 공장은 없었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은 2015년부터 스마트 제조 확산을 위한 국가 차원의 계획 및 목표를 수립하고 추진해오면서 이처럼 많은 등대공장을 확보할 수 있었다.
일정 규모 이상의 제조공장은 70% 이상 디지털화 및 네트워크화를 실현하도록 하고, 스마트 제조 시범공장을 500개 이상 건설하는 등 노력을 기울인 점도 유효했다고 덧붙였다.
전체 자동차 등대공장을 제조 분야별로 살펴보면 르노, BMW, SAIC 등 완성차업체 공장이 7개, 보쉬, CATL 등 부품업체 공장이 10개를 차지했다.
대표적으로 중국 CATL은 이차전지 수요 급증과 인건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조 과정에 빅데이터 및 AI 비전 기술을 활용한 품질 시뮬레이션을 도입했으며 딥러닝을 통해 생산력을 제고하는 등 성과를 보였다.
자동차 산업 등대공장별로 추진한 공정 혁신을 유형화한 결과, 장비 고도화가 28.4%로 가장 높았고, 데이터관리(25.7%), 공정·물류 자동화(17.6%) 순으로 나타났다.
자동차산업이 다양한 소재·부품 및 공정이 필요한 조립 산업인 만큼 공정간 협력 효율이 중요하고, 소비자 수요 변동성 및 다양성이 확대됨에 따라 장비 고도화 및 데이터 관리에 많은 투자가 이뤄지고 있다는 게 윤 연구원의 분석이다.
윤 연구원은 "가치사슬 전반의 디지털 전환으로 자동차 선진국들은 첨단 제조설비 구축에 주력하고 있으며 전동화·자율화 전환을 선도하기 위해서는 생산현장의 변화가 중요하다"며 "국내 노동 여건, 작업환경 및 작업자에 최적화된 장비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산업간 공동연구 및 유기적 네트워킹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winkit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