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내 '그린 인증' 대형오피스, 4년새 두배 이상 증가

입력 2024-05-30 09:58  

서울 내 '그린 인증' 대형오피스, 4년새 두배 이상 증가



(서울=연합뉴스) 김희선 기자 = 기업들이 환경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탈탄소 전략을 추진하면서 친환경 오피스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30일 글로벌 부동산 서비스 회사 JLL(존스랑라살) 조사에 따르면 서울 내 A급 오피스 중 그린(친환경) 인증을 받은 건물 비중은 2019년 21%에서 2023년 45%로 4년간 두 배 이상 늘었다.
JLL은 연면적 3만3천㎡ 이상, 바닥면적 1천89㎡ 이상의 우수한 시설을 갖추고 입지가 뛰어난 오피스를 A급으로 분류한다.
JLL 측은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기후 중립 선언에 발맞춰 상업용 부동산 업계에서도 환경 인증을 받은 건물 공급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면서 "임차인들은 환경친화적인 건물 운영 전략과 관련 인증의 유무를 필수 요건으로 고려하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JLL이 임차인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관련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80% 이상이 2030년까지 모든 사무실 공간을 그린 인증 받은 오피스로 바꾸길 원한다고 응답했다.
또 10명 중 7명 이상의 임차인이 에너지 순환 기법에 기반한 환경친화적 건물 설계를 탄소 감축을 위한 최우선 방안으로 선택했다.
하지만 10명 중 6명은 현재의 고금리 시장 환경에서 지속 가능한 건물로 리모델링하는 데 드는 비용 문제를 우려 요인으로 꼽았다.
이와 관련, JLL은 "비용 문제는 서울시가 진행하는 건물 에너지 효율화 사업, 임차인과 임대인 간 그린 기반 협력 구조 등을 통해 해결 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며 "임대인과 임차인 간 협력을 촉진하기 위한 '그린 리스'와 같은 비즈니스 모델이 주목받고 있다"고 소개했다.
'그린 리스'는 일반적인 임대 조건 외에 대체 에너지원의 도입 및 폐기물 감축 계획 등 오피스의 지속 가능한 운영을 위한 조항을 포함한다.
심혜원 JLL 코리아 리서치 팀장은 "한국 부동산 시장도 지속 가능성에 대한 관심이 더욱 커질 것"이라며 "녹색 인증을 받은 오피스를 선호하는 추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hisunny@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