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남단 방어선'으로 설정…야생 멧돼지 수색·포획 강화
![](https://img.wowtv.co.kr/YH/2024-07-08/PYH2024020518650001300_P2.jpg)
(서울=연합뉴스) 이재영 기자 = 아프리카돼지열병(ASF) 확산을 저지하기 위해 환경부와 경북 서남부 지방자치단체들이 총력 대응에 나선다.
환경부는 경북 서남부 9개 시군에서 야생 멧돼지 수색과 포획을 확대한다고 8일 밝혔다.
야생 멧돼지 위치를 실시간 파악할 수 있는 열화상 드론을 갖춘 수색팀 10개팀과,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운 곳의 멧돼지 폐사체도 찾을 수 있는 탐지견 8마리를 투입할 예정이다. 위치추적장비(GPS)가 탑재된 포획 틀 900여개도 설치한다.
멧돼지 수색과 포획이 확대되는 9개 시군은 상주, 영천, 군위, 김천, 구미, 칠곡, 청도, 경산, 경주다. 이 중 상주, 영천, 군위는 이미 야생 멧돼지 ASF 감염 사례가 나온 곳으로 환경부는 이 3개 지자체를 '하한선', 9개 지자체 전부를 '최남단 방어선'으로 설정했다.
경북은 현재 ASF 확산세가 거센 지역으로 7일에도 예천군 한 양돈농가에서 ASF가 발생했다. 올해 6번째 양돈농가 확진 사례다.
환경부는 "멧돼지는 9월께부터 행동반경이 넓어져 농경지에 출몰하는 경우가 늘어난다"라면서 "농작물 수확기 전인 지금이 산악을 중심으로 한 야생 멧돼지 포획에 중요한 시기"라고 설명했다.
국내에선 2019년 10월 경기 연천군에서 야생 멧돼지 ASF 감염 사례가 처음 나온 뒤 현재까지 43개 시군에서 4천108건의 감염 사례가 나왔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4/07/08/AKR20240708046200530_01_i.jpg)
jylee24@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