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개 중 22개 폐지 추진…전력산업기반금 등 53개서 2조4천억원↓
![](https://img.wowtv.co.kr/YH/2024-09-03/PYH2024070111250001300_P2.jpg)
(세종=연합뉴스) 민경락 박원희 기자 = '숨은 조세'로 꼽히는 부담금이 내년에 23조원 걷혀 5년 만에 감소하는 것으로 계획됐다.
전력산업기반기금·농지보전부담금 등 53개 부담금에서 2조원 넘게 줄어들 전망이다.
3일 기획재정부가 국회에 제출한 '2025년도 부담금운용종합계획서'에 따르면 내년 계획된 부담금 징수 규모는 23조1천866억원이었다.
이는 올해 계획분(24조6천157억원)보다 5.8% 감소한 것이다.
계획대로 걷힌다면 부담금은 2020년(-1.2%) 이후 5년 만에 전년보다 징수 규모가 줄어들게 된다.
2022년에도 부담금을 전년 계획보다 3.5% 감소한 20조4천659억원 걷힐 것으로 전망한 바 있으나, 실제 실적은 22조3천710억원으로 전년(21조4천349억원)보다 많이 걷혔다.
정부는 올해 3월 정비 계획을 밝힌 부담금 중 상당수를 이미 감면하고 있는 만큼, 내년 부담금이 올해보다 줄어들 것으로 보고 있다.
정부는 지난 7월부터 시행령을 개정해 전력산업기반기금, 관광기금 재원인 출국납부금, 여권 발부시 납부하는 국제교류기여금 등 12개 부담금을 감면한 바 있다. 이를 통해 줄어드는 부담금 규모는 연간 1조5천억원 수준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학교용지부담금, 영화상영관 입장권 부과금 등의 폐지를 담은 개정안도 추진하고 있다.
![](http://img.yna.co.kr/photo/yna/YH/2024/03/26/PYH2024032607790001300_P2.jpg)
구체적으로 전력산업기반기금의 부담금이 내년에 5천148억원 감면된다. 정부는 이 부담금의 부과 요율을 내년 7월까지 단계적으로 1%포인트(p) 인하할 계획이다.
농지보전부담금(-3천999억원), 천연가스 수입부과금(-2천254억원) 등도 줄어든다. 정부는 내년에 53개 부담금에서 총 2조3천869억원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했다.
반면 36개 부담금에서는 징수 규모가 9천578억원 늘어난다.
지역신용보증재단 및 신용보증재단중앙회 출연금은 1천799억원 늘어날 것으로 봤다. 금융회사의 출연요율이 상승한 결과다.
담배 반출량 증가로 국민건강증진부담금이 1천323억원, 장애인 의무 고용률 증가 등으로 장애인고용부담금이 740억원 늘어날 것으로 각각 예상된다.
![](http://img.yna.co.kr/photo/yna/YH/2024/06/06/PYH2024060606670001300_P2.jpg)
내년에 징수하는 부담금은 각각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등으로 귀속돼 재원으로 쓰인다.
중앙정부 수입에 들어갈 부담금 규모는 전체 부담금의 88.0%인 20조4천103억원이다. 중앙정부 기금에 17조3천925억원, 특별회계에 3조178억원 등이다.
지자체 수입은 전체 부담금의 9.1%인 2조1천76억원이다. 공공기관은 6천688억원(2.9%)이다.
부담금은 특정 공익사업을 수행하기 위해 정부 등 공공주체가 부과하는 조세 외의 금전 지급 의무를 말한다. 영화 티켓값에 들어있는 영화발전기금처럼 국민이 '나도 모르게' 지출하는 준조세 성격이 강하다.
정부는 91개 부담금을 원점 재검토해 지난 3월 총 32개를 폐지하거나 감면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정부가 추진하는 대로 회원제 골프장 시설 입장료 등 22개 부담금이 국회 논의를 거쳐 폐지된다면 내년에 운용할 부담금은 91개에서 69개로 줄어든다.
encounter24@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