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 4·5분위가 71% 차지"…전국 5천가구 조사 결과
![](https://img.wowtv.co.kr/YH/2024-10-06/PYH2024092512120001300_P2.jpg)
(서울=연합뉴스) 한지훈 기자 = 소득이 높을수록 빚을 내 집을 사는 경우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6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조국혁신당 차규근 의원이 한국은행에서 제출받은 한국노동패널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2022년 전국 5천가구 중 1천734가구가 주택 마련 용도로 신규 가계부채를 얻었다.
연도별 주택 마련 용도 신규 가계부채는 지난 2015~2017년 1천가구를 소폭 웃돌았으나, 집값이 가파르게 오르기 시작한 2018년부터 1천700가구 안팎으로 치솟은 상황이다.
이는 2022년 기준으로 전세자금대출(516가구), 사업자금(481가구), 생활비(324가구), 재테크(190가구) 등 다른 용도에 비해 월등히 많은 수준이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4/10/05/AKR20241005034700002_01_i.jpg)
특히 주택 마련 용도 신규 가계부채에서 고소득층 비중이 유독 높은 점이 눈에 띈다.
지난 2022년 주택 취득 목적 신규 가계부채를 소득 분위별로 보면, 4분위(578가구)와 5분위(652가구)가 전체의 71.5%를 차지했다.
2020년 4분위(545가구)와 5분위(647가구)가 전체의 71.2%, 2021년 4분위(557가구)와 5분위(615가구)가 전체의 70.8%를 각각 차지하는 등 근소하게나마 매년 비중이 확대됐다.
차 의원은 "집을 사기 위한 가계부채가 고소득층에 몰려 있다"며 "정부는 전체 가계부채 증가가 결과적으로 소득 계층 간 자산 불평등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앞서 한은도 지난 2004~2021년 한국노동패널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한 보고서에서 가계부채 증가가 불평등 확대와 무관치 않다고 지적한 바 있다.
당시 한은은 "주택 취득 용도의 가계부채 증가는 고소득 가계 위주로 월세 등의 소득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어 불평등을 심화하는 데 기여한다"고 지적했다.
![](http://img.yna.co.kr/photo/yna/YH/2024/04/30/PYH2024043004110001300_P2.jpg)
hanjh@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