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과 관계 개선 관심 드러냈지만 다른 우선순위 많아…北 대화 의향이 관건
한미관계는 방위비·관세가 부담 요인…조선산업 등 협력 여지도 상당
(워싱턴=연합뉴스) 김동현 특파원 = 내년 1월 취임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한미관계와 북핵 문제를 어떻게 다룰지 관심이 많지만, 그의 한반도 정책은 아직 뚜렷한 윤곽이 드러나지 않고 있다.
트럼프 당선인이 선거 기간에 북한과 다시 정상외교나 관계 개선을 시도할 가능성을 내비치고, 주한미군 주둔 비용 문제를 언급했지만, 대선에서 승리한 이후에는 한 달이 지나도록 이런 현안을 공개적으로 언급하지는 않고 있다.
이런 가운데 당선인 측이 트럼프 1기 때처럼 북한과의 정상외교를 검토하고 있다는 보도가 최근 나오면서 첫 임기 때 두 차례 북미 정상회담을 했던 그가 세 번째 회담을 조기에 추진할 가능성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
앞서 로이터통신은 트럼프 팀이 트럼프 당선인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직접 대화를 추진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으며 이런 새로운 외교 노력을 통해 북한과 무력 충돌 위험을 줄이기를 희망한다고 지난달 2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트럼프 당선인은 지난달 22일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수석 국가안보 부보좌관에 알렉스 웡을 발탁해 대북 외교에 여전히 관심이 많은 게 아니냐는 관측을 낳기도 했다.
웡은 트럼프 1기 당시 국무부에서 대북특별부대표와 동아태 부차관보를 맡아 북미 정상회담을 준비하는 등 대북 외교 실무에 깊이 관여한 '북핵통'이다.
다만 미국이 처한 국내·외 상황을 고려하면 트럼프 당선인이 바로 북한 문제에 집중하기는 어렵다는 평가가 일반적이다.
특히 바이든 행정부를 괴롭혀왔던 우크라이나와 중동 전쟁이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도 가장 시급한 외교·안보 현안일 수밖에 없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트럼프 당선인이 대북 외교를 어떻게 하겠다고 구체적으로 밝힌 적이 없지만, 그는 선거 과정에 우크라이나와 가자 전쟁을 조기에 끝내겠다고 공약했던 만큼 현재로선 거기에 집중하는 듯하다.
그는 외국 정상들의 회담 요청을 대부분 거절하면서도 지난달 플로리다 마러라고 자택에서 론 더머 이스라엘 전략부 장관을 접견했다. 또 지난 2일에는 하마스에 자신이 취임하기 전까지 인질을 석방하라고 공개 압박하는 등 이미 중동 문제에 관여하고 있다.
또 지난달 12일 '골프 친구'인 부동산 사업가 스티브 위트코프를 중동 특사로 발탁하고, 지난달 27일 키스 켈로그(80) 전 부통령 국가안보보좌관을 우크라이나·러시아 특사로 지명하는 등 관련 인선에 속도를 냈다.
여기에 그가 공약한 보편관세와 대(對)중국 관세를 실행에 옮기려고 할 경우 트럼프 2기 행정부는 한동안 세계 각국과의 무역 협상에 외교력을 집중하게 될 가능성이 크다.
미국 국가정보위원회(NIC) 북한담당관을 지낸 시드 사일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선임고문은 연합뉴스 통화에서 "트럼프 당선인이 취임하자마자 다뤄야 할 모든 현안을 고려하면 러시아가 최우선순위가 될 것"이라면서 "그가 김정은을 좇을 것이라 보지 않는다"고 말했다.
다만 사일러 선임고문은 트럼프 당선인이 러시아와 국내 현안에서 어느 정도 진전을 이루면 향후 북한과 대화 재개를 위해 더 노력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그는 "사람들이 자주 잊어버리는 데 더 중요한 것은 북한의 대화 의향이다"라며 그렇기 때문에 "(만약) 김정은이 만남을 제안하면 트럼프가 응할 것이라 생각한다"고 예상했다.
일각에서는 늘 그랬듯이 북한이 미국이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의 강도 높은 도발을 통해 트럼프 당선인의 관심을 끌 수 있다는 관측도 있다.
하지만 북한이 트럼프 1기 때와 비교해 핵·미사일 역량을 더 발전시킨 상황에서 이전처럼 비핵화를 전제로 미국과 협상에 나설 것이라 기대하는 전문가는 많지 않다.
트럼프 당선인이 우크라이나 전쟁문제를 마무리하면 북한이 무기 판매와 파병을 통해 외화를 벌 길이 막히면서 미국과 대화를 재개할 필요를 느낄 수 있다는 관측도 있다.
하지만, 북러 관계가 이미 상당한 수준으로 발전했기 때문에 전쟁이 끝나도 러시아가 북한을 지원할 것이라는 반론도 있다.
한미관계의 경우 트럼프 당선인이 방위비 인상을 압박하는 등 동맹을 전통적 우호관계 대상보다 거래 대상으로 취급하면서 관계가 평탄하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가 있다.
트럼프 당선인이 보편적 관세를 공약한 상황에서 한국은 대미 무역흑자가 많아 특히 부담스러운 상황이다.
반면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중국을 견제하는데 한국의 전략적 가치가 적지 않다는 점을 고려하면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도 협력 강화 여지가 충분하다는 긍정적인 전망도 있다.
트럼프 당선인도 윤석열 대통령과의 첫 통화에서 조선산업 협력 문제를 거론하는 등 한국과의 협력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음을 드러냈다.
다만 트럼프 당선인이 생각하는 협력이 호혜적인 방식일지, 방위비 대폭 증액처럼 미국이 주로 이득을 얻는 일방적인 요구가 될지 지켜볼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있다.
bluekey@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