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19세기말 앙골라 루안다, 노예무역 핵심항…노예 500만명 팔려가
(요하네스버그=연합뉴스) 유현민 특파원 = "노예제는 미국의 원죄다…역사를 감출 수는 있지만 지울 수 없고, 지워도 안 된다."
미국 대통령으로는 최초로 앙골라를 방문한 조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 3일(현지시간) 수도 루안다의 국립노예박물관 연단에 올라 이렇게 말했다.
앙골라의 식민지 시대 아프리카 노예무역의 역사적 맥락을 조명한 발언으로 과거의 아픔을 기리는 동시에 화합과 치유를 위한 제스처로 해석된다.
노예무역은 인간을 상품으로 국가 간 거래하는 행위로 가장 비인도적인 범죄 행위라 할 수 있다.
아프리카 노예무역은 15세기에서 19세기 말까지 아프리카에서 대서양을 건너 미주와 카리브해 쪽으로 흑인들을 상품으로 매매하던 행위를 말한다.
이 과정은 유럽과 아프리카, 미주 대륙을 연결하는 대서양 삼각무역 체제를 통해 이뤄졌다.
유럽에서 총, 직물, 철제품 등을 아프리카로 수출하고 아프리카에서 미주로 노예를 수출하고, 미주에서 유럽으로 노예의 강제 노동으로 생산된 설탕, 면화, 담배, 커피 등을 수출하는 체제의 핵심 요소였다는 얘기다.
대서양 삼각무역은 단순한 경제적 거래가 아니라 아프리카와 미주의 사회적, 문화적, 인구학적 변화를 초래한 강제적 이동과 착취의 역사였다.
이 기간 아프리카에서 노예로 팔려 간 이들은 최소 1천200만명을 넘는 것으로 추산된다.
영국의 역사학자 휴 토머스가 쓴 '노예무역: 대서양 노예무역 이야기 1440∼1870'(1997)에 따르면 16세기 후반부터 포르투갈 식민지로 점령된 앙골라의 수도 루안다 항구는 당시 대서양 노예무역의 핵심 항구였다.
19세기 중반 국제사회의 압력과 포르투갈 내 반노예제 운동으로 노예무역이 점차 축소되기까지 루안다를 통해 강제 이송된 아프리카 노예는 500만명을 넘는다.
전체 규모에서 약 40%에 달하는 비중으로 루안다가 대서양 노예무역의 구조적 중심지였음을 보여준다고 토머스는 설명했다.
루안다에서 출발한 노예의 대부분(약 90%)은 미국이 아닌 브라질로 보내졌다.
브라질로 이송된 노예는 주로 사탕수수, 담배, 커피 농장에서 강제 노동에 동원됐다.
나머지 10% 정도가 쿠바, 아이티, 자메이카 등 카리브해와 미국으로 이송돼 설탕, 커피, 면화 재배지 등에서 일했다.
토머스는 책에서 특히 앙골라와 브라질 간의 경제적·문화적 관계와 노예무역의 비인간적 실태를 생생히 그리며 앙골라가 대서양 노예무역에서 차지한 중심적인 역할을 상세히 조명했다.
루안다에서 브라질로 향하는 항로의 험한 항해 조건과 비위생적인 선박 환경 등으로 인해 항해 중 사망한 노예가 15∼20%에 달했다는 게 그의 분석이다.
이번에 바이든이 방문한 루안다의 국립노예박물관은 공교롭게도 대서양 노예무역의 전 과정을 포괄적으로 다룬 토머스의 책이 발간된 1997년 개관했다.
포르투갈 식민지 시대(1575∼1975년) 노예무역의 중심지였던 루안다의 관련 자료를 보존하고 전시하는 곳으로 노예거래에 사용된 쇠사슬과 족쇄, 노예무역 지도와 항로 등이 주요 전시물이다.
특히 당시 노예들이 출발했던 해안 근처에 지어진 예배당이 박물관 안에 자리 잡고 있어 당시 노예들의 아픔과 고통을 상징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hyunmin623@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