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현 삼성리서치 AI센터장 "한국 GPU 보유율 낮아…밸런스 중요"
(서울=연합뉴스) 조현영 기자 = 국내 인공지능(AI) 산업이 발전하려면 정부가 엔비디아 그래픽 처리장치(GPU) 기반 AI 연구를 지원하면서 동시에 신경망 처리장치(NPU) 개발 스타트업을 발전시키는 '투트랙' 전략을 취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김대현 삼성리서치 글로벌 AI센터장은 14일 국민의힘 고동진 의원이 국회의원회관에서 개최한 '엔비디아 GPU와 함께 이야기되는 TPU와 NPU 기술 등에 대한 현황 분석 간담회'에서 "하드웨어만 지원하면 소프트웨어 발전에 문제가 생기고, 소프트웨어만 지원하면 유망 사업인 NPU 사업이 발전하지 않을 것이므로 양쪽을 다 살릴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김 센터장에 따르면 컴퓨터에서 여러 작업을 두루 잘하는 중앙 처리장치(CPU)와 달리, GPU는 그래픽 작업에 특화한 칩이다.
그런데 최근 각광받는 AI의 연산 방법이 그래픽 처리와 유사한 측면이 있어 GPU와 이를 개발한 엔비디아가 시장에서 독주를 펼치고 있다.
이에 따라 빅테크들이 GPU 구매에 천문학적인 투자를 할 수밖에 없게 되자, 마이크로소프트(MS)와 메타 등 기업은 온전히 AI에 특화한 NPU를 직접 개발하는 추세다.
구글이 개발한 NPU의 일종인 TPU가 하나의 예시다.
김 센터장은 "CPU에서의 AI 성능이 1이라면 GPU에서는 100이고 NPU에서는 1천"이라며 "GPU가 10번에 나눠 할 연산을 NPU는 한 번에 할 수 있다"고 말했다.
NPU가 유망한 것은 맞지만, 아직 GPU만큼 발전하지는 않았다고 김 센터장은 진단했다.
이에 따라 국내 AI 산업이 비약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정부가 GPU에 투자해 AI 엔지니어들이 자유롭게 기술을 테스트할 수 있게 하면서 한편으로는 NPU 산업이 성장하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센터장은 "MS와 메타가 한 해에 수십만 개의 GPU를 구매하고 있는 것과 달리, GPU를 국내에서 가장 많이 보유한 삼성과 네이버는 만 개 정도밖에 갖고 있지 않다"며 "GPU 숫자가 결국 AI 경쟁력의 바로미터인데 많이 부족한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엔비디아 GPU를 이용해 AI 분야에서 앞서가면서 NPU를 육성해, 어느 한쪽에 올인하기보다 밸런스를 유지하면서 병행하는 것이 맞는다"고 덧붙였다.
고 의원도 "아직 확신을 갖기는 어렵더라도 균형을 맞춰 AI 엔지니어가 일할 수 있게 하고 테스트베드 형태로 투자해야 미래가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국내 AI 반도체 스타트업인 리벨리온과 퓨리오사에 대해서는 '소프트웨어 툴'을 잘 갖춰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엔비디아가 독주 체제를 유지할 수 있는 이유는 GPU라는 하드웨어뿐 아니라 AI 모델 학습과 추론을 지원하는 소프트웨어 툴이 잘 갖춰져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 툴은 한번 익숙해지면 바꾸기 어려워 고객을 묶어둘 수 있는 데다 NPU를 최대치로 활용할 수 있게 하는 장치다.
김 센터장은 "NPU는 소프트웨어 툴 측면에서 아직 많이 부족하다"며 "한국에도 우수한 엔지니어가 많고 칩 성능만으로 볼 때는 훨씬 뛰어난 경우도 있지만 툴 부분은 많이 열세"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정부의 NPU 스타트업 투자가 단순히 회사의 수명을 연장하는 데 그치지 않고 제품이 데이터센터에 들어가 자생할 수 있게 키우는 방식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hyun0@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