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바이든 수출통제 옥죄기에 'AI 굴기'도 관심…관련 기업 4천500개
AI 연구 분야서 양적으론 美에 앞섰으나 한계점도 분명 지적
(서울=연합뉴스) 권숙희 기자 =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가 지난 13일(현지 시간) 중국에 대한 인공지능(AI) 반도체의 수출 통제를 한 단계 더 강화하기로 했다고 발표하면서 중국의 'AI 굴기'가 어디까지 이르렀는지에 대한 관심도 덩달아 커지고 있다.
중국은 지난 수십년간 '세계의 공장'을 자임하며 초저가 제품을 쏟아내는 데 집중했던만큼 첨단 기술과 막대한 자본이 필요한 과학기술력에 대해서는 이제껏 반신반의하는 국외 시각이 지배적이었으나 최근 들어서는 그 기류도 달라지는 분위기다.
지난 10일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폐막한 세계 최대 가전·IT 전시회인 CES에서는 최근 몇 년간 움츠러들었던 것으로 보였던 '중국의 기술 저력'이 다시 기지개를 켜는 듯한 모습을 보였다.
미국 정부가 제재대상에 올린 화웨이와 DJI(드론업체) 등 중국 대표 테크 기업들이 빠졌음에도 AI 기술을 기반으로 업그레이드된 로봇 청소기 등 사물인터넷(IOT) 제품들과 중국의 AI 자율주행 전기차들은 관람객 눈길을 사로잡기에 충분했다.
이러한 변화의 흐름은 진작부터 감지된 듯 지난해 8월 미국 경제·혁신 정책 싱크탱크인 정보혁신재단(ITIF)은 '중국은 AI 분야에서 얼마나 혁신적인가'라는 제목의 보고서에서 "중국이 AI에 대한 끊임없는 추진력과 전략적 투자로 미국을 따라잡거나 능가하는 것은 시간문제일 뿐"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중국이 AI 연구 분야에서 양적으로는 이미 미국을 앞섰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평가다.
AI 관련 기업들의 양적 성장도 두드러진다.
중국 공업정보화부의 장윈밍 부부장은 지난해 11월 말 중국 저장성 우전에서 열린 '2024 세계 인터넷 정상회의'에서 "중국의 AI 산업은 급속히 발전하고 있다"면서 "중국 내 AI 관련 기업이 4천500개를 넘어섰다"고 밝혔다.
아울러 AI 융합 응용 분야도 발전을 거듭해 중국은 421개 국가급 스마트 제조 시범 공장을 육성했다.
응용 분야에 속하는 스마트 도시(AI 기술이 적용된 교통·안전 시스템), 자율주행차, 의료 AI, 언어 AI(음성 인식과 번역) 등에서도 중국은 세계를 선도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중국의 AI 발전에 대한 세간의 놀라움을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사례가 최근에 있었다.
AI 반도체 선두인 엔비디아(NVDA)의 수석 연구원이 지난 9일 엑스(X·옛 트위터)에 공유한 한 로봇 영상이 조회수 230만회를 넘기며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팬 연구원은 거리에서 성큼성큼 걷는 휴머노이드 로봇의 영상을 공유하며 "선전의 이 충격적 영상이 진짜인지 알려주실 분?"이라는 글을 올렸다.
영상 속 로봇은 중국 선전에 있는 '엔진 AI'라는 스타트업 회사에서 만든 것으로 확인됐다.
영상이 사실로 밝혀지자 그는 "보행 자세가 멋지기는 하지만, 이런 로봇이 하루빨리 화재 진압에 투입될 수 있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따르면 '엔진 AI'의 영상 속 주인공인 '에스이(SE)01'은 키 170㎝에 이족보행을 하며 팔굽혀펴기, 물건 집기 등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을 통해 급격하게 성장한 중국의 AI 분야는 물론 여전히 극복해야 할 여러 한계점을 갖고 있다.
중국 내 AI 관련 기업들은 높은 투자 대비 낮은 수익성을 보이고 있으며, 특히 휴머노이드 로봇 분야에서 상용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무엇보다 핵심 기술을 미국 등 선진국에 의존하고 있다는 점이 가장 큰 문제다.
이 때문에 바이든 행정부가 임기를 일주일 남기고서 중국을 겨냥해 AI 개발에 필요한 반도체 판매와 관련한 신규 수출통제를 발표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중국 상무부는 "미국의 수출 통제 남용은 글로벌 과학기술 혁신에도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미국 기업을 포함한 전 세계 기업에 심각하게 손해를 끼친다"며 "우리는 자국의 정당한 권익을 단호히 수호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를 하겠다"고 강력 반발하는 상황이다.
suki@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