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베이=연합뉴스) 김철문 통신원 = 중국에서 지난해 시위가 3천여건 발생했다고 대만 정보기관이 주장했다.
9일 자유시보 등 대만언론에 따르면 대만 정보기관인 국가안전국(NSB)은 입법원(국회)에 제출한 중국 경제와 관련한 최신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NSB는 중국 경제의 지속적인 부진에 따라 임금이 체불되거나 삭감되는 대상이 농민, 생산직 노동자에서 공무원, 의료계 종사자, 금융업 등으로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중국에서 발생한 3천여건의 민중 항의 시위 가운데 75%가 경제적 손실로 인한 문제와 관련이 있으며 시위가 벌어진 지역이 남부에서 북부로 확산했다고 덧붙였다.
NSB에 따르면 중국 내 고용 한파로 청년층의 높은 실업률이 지금까지 해소되지 않고 있으며 '탕핑(?平·가만히 누워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는 뜻)족'이나 '은둔족' 등 청년층에서 소극적인 비관 심리가 심화하고 있다.
아울러 지난해 11월 중국 대학생을 중심으로 유행한 '야간에 공유자전거로 카이펑 가기 운동'이나 핼러윈 분장을 통한 시사 풍자로 불만을 해소하는 등 중국 경제와 사회 문제가 연동되는 위험이 늘고 있다고 풀이했다.
NSB는 중국 지방정부가 재정 수입 감소로 채무 상환 부담이 증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지방정부가 민간 기업가를 체포하거나 기업 자산을 동결 또는 차압하는 방식 등으로 재원 마련에 나서 민간기업의 지방정부에 대한 신뢰나 투자 의지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설명했다.
NSB는 이 보고서에서 세계은행과 국제통화기금(IMF) 등 국제기구가 중국의 경제에 대해 생산시설 과잉과 통화 긴축, 소비와 투자 모멘텀 부족, 외자 철수 등의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고 전했다.
jinbi100@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