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조현영 기자 = SK텔레콤[017670]이 글로벌 장비 제조사 삼성전자[005930], 에릭슨, 노키아 등과 협력해 차세대 가상화 기지국을 상용 환경에서 실증하는 데 성공했다고 17일 밝혔다.
가상화 기지국은 범용 서버에 소프트웨어를 설치하는 것만으로 제조사 관계 없이 구현 가능해 이동통신과 AI의 결합인 '네트워크 AI' 실현의 핵심 기술로 꼽힌다.
이번 실증에서 SK텔레콤은 실내외 상용망에 차세대 가상화 기지국을 구축하고, 기존 가상화 기지국 대비 서비스 품질, 용량, 전력 효율 등 핵심 성능의 개선 수준을 종합적으로 검증했다.
SK텔레콤은 글로벌 제조사의 차세대 가상화 기지국을 실제 실내외 환경에서 모두 실증한 것은 국내 이동통신사 중 처음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가상화 기지국의 핵심 요소인 가속기 구조 진화를 통해 전력 소모를 줄이고, 데이터 처리 효율을 개선한 차세대 가상화 기지국을 개발해 실증에 활용함으로써 효율성과 경제성을 높였다고 밝혔다.
개방형 프론트홀(기지국의 중앙 장치와 분산된 무선 장치를 연결하는 망)을 기반으로 삼성전자의 차세대 가상화 기지국과 국내 네트워크 장비 전문 기업 에치에프알[230240](HFR)의 무선 장치를 오픈랜 표준에 따라 연동하고, 이를 실제 실내 사무공간에 적용해 성능을 검증하는 데도 성공했다.
SK텔레콤은 그래픽 처리장치(GPU)를 포함한 다양한 칩셋 기반 기지국 장비 및 가상화 자원 분배 기술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글로벌 파트너사와 협력하는 등 네트워크 AI 연구개발을 계속하고 있다.
hyun0@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