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jobnjoy.com/files/editor/1498097341269_1.jpg)
<p >△서울허브센터 개관식, 사진=한국경제DB
<p >[캠퍼스 잡앤조이=이건주 인턴기자]지난 21일 서울시의 창업지원 정책의 컨트롤타워이자 국내 최대 규모의 창업보육기관인 ‘서울창업허브’가 개관했다. 개관에 맞춰 5대1의 경쟁률을 뚫은 148개 스타트업과 작년에 선발된 6개 기업이 입주 완료한다.
<p >
<p >지하 1층 ~ 지상 10층 규모의 서울창업허브는 서울 전역의 23개 창업인프라를 총괄하는 컨트롤타워다. 앞으로 정책과 정보를 종합화하고 기존 각 센터에서 제공하던 공통, 중복된 기능을 통합 제공할 예정이다.
<p >
<p >서울시는 “서울 창업허브를 통해 성장단계별로 지원금과 지원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입주기업을 포함해 매년 450개 기업을 보육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p >
<p >서울창업허브는 이날 개관한 본관과 내년 상반기 개관하는 별관으로 구성되며, 전체 규모는 2만3659㎡다. 본관동은 창업문화공간과 입주기업 보육공간, 컨벤션 시설 등으로 구성됐다. 별관동은 본관동에 입주한 창업기업들이 제품을 만들고 테스트하는 공간으로 특화된다.
<p >
<p >1층부터 3층은 대시민 개방 창업문화공간이다. 창업기업 제품 전시공간과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코워킹 스페이스가 한쪽 벽을 따라 이어져 있다. 또 요식업 스타트업을 위한 키친인큐베이팅 공간이 3층에 마련된다.
<p >
<p >154개의 스타트업이 입주할 입주기업 보육공간(4~8층)은 성장단계에 따라 맞춤형 보육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창업 후 3~5년 내 도산’이라는 죽음의 계곡 없이 커나갈 수 있도록 돕는다.
<p >
<p >컨벤션 시설에는 다목적홀, 대강당, 세미나실 등이 있으며, 허브 런치데이, 창업인의 밤, 글로벌 국제 교류회 등 창업행사가 연중 개최될 예정이다.
<p >
<p >내년 상반기에 개관 예정인 별관동은 본관동에 입주한 창업기업이 디자인 및 시제품제작과 테스트를 하는 공간으로 특화된다. 완제품 대량 생산시스템인 미국 ‘AQS 모델’과, 3D 프린팅 소프트웨어 기업인 프랑스 ‘다쏘 시스템’과도 연계한다.
<p >
<p >박원순 서울시장은 “서울창업허브는 창업의 문턱을 낮추면서 향후 3년 안에 창업과 관련된 모든 정책과 정보가 서울창업허브로 모이게 될 것”이라며 “2020년까지 서울시 전역의 38개 창업지원시설을 통해 매년 1500개 기업을 보육하고 연간 4500개 이상의 일자리를 신규 창출하겠다”고 말했다.
<p >
<p >gunju0326@hankyung.com
< 저작권자(c) 캠퍼스 잡앤조이, 당사의 허락 없이 본 글과 사진의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