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캠퍼스 잡앤조이=이진이 기자] 일과 삶의 균형을 추구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근무시간과 형태도 변화하고 있다. 유연한 근로시간이 직장문화 개선과 기업의 생산성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는 가운데 일찌감치 유연근무제를 도입한 기업들이 있다.
유연근무제는 근로자가 여건에 따라 근무시간과 형태를 조절하는 제도로, 시차출근제, 재량·선택근무제, 재택·원격근무 등 다양한 형태로 일하는 것을 말한다. 시간당 임금과 4대 보험을 비롯한 복리후생이 현재의 정규직 수준으로 보장되는 것이 특징이다.
발전전문 공기업인 한국동서발전은 매일 오후 7시가 되면 PC전원은 물론 사무실도 모두 소등된다. 한국동서발전은 2010년 유연근무제 시범운영을 거쳐 2011년부터 다양한 유연근무제를 본격 운영하고 있다.
일하고 싶은 시간에 일하는 ‘시간선택제’는 주 15~30시간을 1일, 1주일 단위로 근무시간 선택이 가능하다. 또한 오전 7시~10시 중 30분 단위로 선택할 수 있는 ‘시차출근제’와, 1일 3~12시간 내 근무시간을 조절하는 ‘근무시간선택제’, 주 3.5일에서 주 4일만 일하는 집약근무제 등 다양한 탄력근무제를 시행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지난 2014년 6월 공기업 최초로 클라우드기반의 스마트오피스를 구축, 원격근무제의 일환으로 최대 주 4일 재택근무와 스마트워크가 가능하다. 한국동서발전은 스마트워크센터를 2014년 2개소에서 2016년 6개소로 확대 운영하고 있다.
한국동서발전의 한 여성 직원은 “2014년부터 딸아이의 유치원 등원을 위해 시차출퇴근제를 3년째 이용하고 있다”며 “아이를 등원시키고 출근할 수 있다는 점이 엄마로서 안심돼, 탄력근무제에 대해 만족한다”고 말했다.
국가유공자와 보훈가족의 통합의료·복지서비스 기관인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은 ‘집중근무일제’를 도입해 근무일에는 집중적으로 일하고 비근무일에는 육아나 자기개발 등에 시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은 2010년 단시간근로제 시범운영기관으로 선정된 후 일자리 창출과 효율적인 인력운영을 위해 시간선택제 일자리를 운영해왔다. 시간선택제 전환근무 적용을 위한 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교대근무를 하는 병동 간호사만큼은 시간선택제 전환이 어려운 상황이었다.
이에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은 교대근무 특성에 맞는 집중근무일제를 도입했다. 시간선택제가 하루 4시간씩 20일간 월 80시간 근무한다면, 집중근무일제는 하루 8시간 10일간 일하는 방식이다. 월초나 월말에 집중근무를 실시하므로 남은 10일은 자유롭게 사용이 가능하다.
실제로 집중근무일제를 적용해 18일간 휴일을 얻어 리프레시 장기휴가를 떠난 직원도 있고, 월초 집중근무일 배치 후 잔여일을 투병 중인 어머니의 병원 치료와 간병에 사용한 직원도 있다는 게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의 설명이다.
이 같은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의 노력으로 지난해 시간선택제로 전환한 직원 107명 가운데 간호직은 65명으로 전년대비 30% 이상 증가한 반면, 이직률은 2015년 4.4%에서 2016년 4.0%로 0.4% 감소해 근무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전자와 일본 도레이가 출자해 설립한 합작회사인 스테코는 2011년부터 시차출근제를 도입했다. 오전 6시~오후 1시 중 원하는 시간에 출근해 8시간 근무하면 된다. 근로자 595명 중 사무직 직원 250명 정도가 시차출근제를 사용하고 있으며, 직원들의 만족도도 높다.
글로벌 제약회사인 에자이의 한국법인 한국에자이도 시차출근제를 시행한다. 오전 8시~9시 중 30분 단위로 원하는 시간에 출근해 8시간 근무한다. 또한 영업직 직원들을 위해 스마트워크제도 시행하고 있다. 태블릿PC를 지원해 이동 중에도 시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했고, 화상회의를 진행하기도 한다.
지난해 대한상공회의소 조사에 따르면, 유연근무제를 도입한 150개 기업 가운데 92%인 138개 기업이 이에 만족했다는 결과가 나왔다. ‘생산성이 향상됐다’는 답변과 ‘이직률이 감소했다’는 답변도 92%로 조사됐다.
일과 가정의 양립을 위한 대안으로 유연근무제 도입을 반기는 기업이 있는 반면, 이를 우려하는 시각도 있다. 유연근무제의 제도와 시스템이 잘 갖춰지지 않으면 오히려 기업의 생산성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전문가들은 유연근무제 도입이 용이한 직무를 중심으로 시범운영하고, 보완·개선을 통해 확산하는 방법을 고려하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다고 조언한다.
zinysoul@hankyung.com
< 저작권자(c) 캠퍼스 잡앤조이, 당사의 허락 없이 본 글과 사진의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