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 >[캠퍼스 잡앤조이=김정민 인턴기자] 사람인이 기업 368개사를 대상으로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계획’에 대해 조사한 결과, 현재 비정규직을 고용하고 있는 기업 158개사 10곳 중 7곳은 ‘계획이 있다’고 답했다.
<p >정규직 전환 비율은 전체 비정규직 직원 대비 51.0% 수준으로 집계됐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50.0%’(24.5%), ‘10.0% 미만’(17.3%), ‘90.0%’(14.5%), ‘100%’(10.0%), ‘70.0%’(6.4%) 등의 순이었다.
<p >전환 시 기존 정규직과 동일한 처우를 제공한다는 응답이 85.5%였고 별도 처우 규정을 마련한다는 응답은 14.5%로 나타났다.
<p >반면 전환 계획이 없다고 밝힌 기업 48개사는 그 이유로 ‘인건비 상승 부담 때문에’(41.7%, 복수응답)를 가장 많이 선택했다. 다음으로 ‘업무량이 유동적이라서’(37.5%), ‘노동시장의 유연성을 위해’(16.7%), ‘최근 경영 성과가 좋지 않아서’(12.5%), ‘신규채용에 지장을 받아서’(8.3%) 등의 이유를 들었다.
<p >그렇다면 비정규직 자리에 신규로 정규직을 채용할 계획은 얼마나 될까. 응답 기업의 55.7%가 ‘정규직 채용 의향이 있다’고 답했으며, 그 이유로는 ‘업무 지속성 향상을 위해서’(58.0%, 복수응답), ‘숙련된 인력 확보를 위해서’(50.0%), ‘업무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39.8%), ‘기업 경쟁력 향상을 위해서’(22.7%) 등이 있었다.
<p >기존 비정규직 직무를 정규직으로 채용하는 분야는 ‘제조·생산’(19.3%, 복수응답)이 가장 많았다. 계속해서 ‘서비스’(18.2%), ‘재무·회계’(17.0%), ‘인사·총무’(17.0%), ‘영업관리’(15.9%), ‘연구개발’(10.2%) 등이 있었다.
<p >한편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을 위해 필요한 것으로는 ‘정부차원에서의 비용 지원’(38.6%, 복수응답)과 ‘정규직에 대한 유연한 기준 확립’(38.3%)이 1, 2위에 올랐다. 이어 ‘산업특성 반영한 관련 제도 확립’(23.9%), ‘성과 중심의 임금 차등화 제도 마련’(18.8%), ‘처우에 대한 노조와의 원활한 협의’(17.7%) 등이었다.
<p >kelly7795@hankyung.com
< 저작권자(c) 캠퍼스 잡앤조이, 당사의 허락 없이 본 글과 사진의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