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견기업인 하나마이크론을 탐방하면서 이 회사에 대해 더욱 궁금해졌다. 해마다 특성화고 졸업자들을 60여명 뽑고 있는 이 회사의 입사 절차와 복지에 대해 들어봤다.
중기원정대 서은채 학생
![](http://www.jobnjoy.com/files/editor/1542612165164_1.png)
하나마이크론에서는 무슨 일을 주로 하나요.
반도체 패키징 및 테스트사업 및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사업을 진행하고 있어요.
하나마이크론에서 고졸 채용은 어떻게 진행되나요.
정기적으로 해마다 50~60명 선에서 채용하고 있어요. 생산직으로 근무하게 되는 친구들이 많고 사무직은 자리가 날 때마다 상시로 채용하는 형태에요. 원래는 이맘때쯤 채용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올해는 현장학습 제도가 바뀌어서 지켜보고 있는 상황이죠.
고졸사원들이 입사하게 될 경우 맡게 될 업무가 구체적으로 무엇인가요.
저희 회사의 경우 총 4가지 직군이 있는데요. ▲반도체 기계를 고치는 설비 ▲제조 업무를 하는 생산직 ▲반도체를 생산해내는 기술을 연구하는 기술직 ▲일반 사무를 담당하는 사무직 등으로 구성돼 있습니다. 직무는 본인의 역량에 따라 결정되는 것 같아요. 물론 남자와 여자의 직군 제한은 따로 두지 않습니다.
주 52시간 근무제를 준수하기 위해 상황에 맞게 교대근무를 하고 있어요. 또한 직원들의 피로를 낮추는 방법, 휴일을 보장하는 방법에 대해 회사에서 고민을 많이 하고 있습니다.
연봉은 어떻게 되나요.
대졸 초임은 3300~3400만 원이고 생산직 고졸 초임은 2500~2800만 원 중후반대입니다. 매년 조금씩 오르는 추세입니다.
사내 대학을 운영하고 있다고 들었는데 누구나 입학 할 수 있나요.
지난 2004년 3월 중소기업이었을 때 국내 최초로 사내대학(백석문화대 캠퍼스)을 설립했어요. 회사 직원 중 대학 진학에 관심이 있는 분들이라면 누구나 입학이 가능하며 따로 학교를 찾아 가는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회사 내에서 일부 수업이 진행됩니다.
채용절차는 어떻게 진행되나요.
서류, 면접, 시험을 통해 지원자에 대한 평가가 이뤄집니다. 시험은 사칙연산과 논리, 단순언어 문제가 출제됩니다. 면접은 4인 1조로 진행하며 학생들의 수준에 맞게 면접을 진행합니다.
가장 기억에 남는 지원자가 있다면요.
면접 중에 자신이 제일 잘하는 게 무엇이냐 물었더니 한 학생이 태권도 품새를 보여준 게 기억이 납니다. 처음에 너무 긴장을 했는지 질문에 제대로 답변도 못하고 표정도 불안해 하던 중에 갑자기 일어나 품새를 보여줬는데 그 학생이 최종 합격했어요. 합격 이유는 바로 자신감이었습니다.
여성의 육아휴직 제도는 잘 이루어지는 편인가요.
지금도 15명 정도의 인원이 육아휴직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대부분 출산휴가가 끝나면 육아휴직으로 이어지고 있는데요. 눈치 안 보고 누구나 사용할 수 있습니다. 여성 사원이 많다 보니 ‘출산휴가, 육아휴직은 당연히 사용 한다’라는 문화가 자리 잡게 됐습니다.
남자 직원의 경우 산업체 병역 특례가 있나요.
반도체 회사는 병역 특례는 없습니다. 그렇지만 회사에 입사해서 1년 정도 근무를 하다가 군대에 갈 경우 제대 후 복직을 할 수 있어요. 군대에 가있는 동안은 무급이지만 제대 후 복직 의사를 밝히면 회사에서 받아주는 시스템이에요.
사원 복지 중에 기숙사 제공이 있던데 어떤 기준으로 제공이 되나요.
기숙사에 들어가기 원하는 사원들은 모두 사용할 수 있어요. 현재는 오래돼 그리 깨끗하지는 않아 회사는 오는 2020년까지 천안 시내에 기숙사를 신축하려고 계획 중입니다.
회사가 하고 있는 사회 공헌 활동 중 ‘1사 1하천 가꾸기’ 운동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주세요.
자세히 보면 회사 입구에 작은 하천이 흘러요. 군·면 단위에서 협조 공문이 오면 직원들이 시간을 내서 하천을 정비하고 쓰레기를 수거해가는 활동을 하고 있어요.
기업이 사회 공헌 활동을 하는 건 당연한 것이라고 생각해요. 그 외에도 많은 사회 공헌 활동들을 하고 있어요. 지역 노인 분들을 위해 저희 회사에서 경로잔치라던가 체육대회를 열어드리기도 합니다.
해외 진출도 빠르게 진행하고 있던데요. 현재는 어떤가요.
저희 회사 해외 사업장은 브라질과 베트남에 있으며 두 곳 모두 자리를 잡은 상황입니다. 해외에서는 주로 기술 전수, 고객 유치와 제품 납품을 주력으로 하고 있습니다.
< 저작권자(c) 캠퍼스 잡앤조이, 당사의 허락 없이 본 글과 사진의 무단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
관련뉴스